한(寒)

상한은 중한 병이다[傷寒號爲大病]

한닥터 2011.09.03 조회 수 722 추천 수 0
◎ 傷寒號爲大病 ○ 傷寒世號爲大病[得效] ○ 傷寒一證與雜病不同若不對證妄投藥餌罪犯非輕誤人多矣[局方] ○ 傷寒證候頃刻傳變傷寒治法繩尺謹嚴非可以輕心視之也其間種類不一條例活繁是固難矣至於陰極發躁熱極發厥陰證如陽陽證如陰脚氣似乎傷寒中暑似乎熱病凡此等類尤當審思而明辨之若疑似未別體忍未明切不可妄投決病之劑方匕雖微死生係焉可不謹歟[得效]

☞ 상한은 중한 병이다[傷寒號爲大病]

 ○ 세상 사람들은 상한(傷寒)이 중한 병이라고 한다[득효]. ○ 상한은 잡병과 같지 않다. 만일 증상에 맞지 않게 함부로 약을 쓰면 흔히 잘못되어 엄중한 결과를 가져온다[국방]. ○ 상한의 증상은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경솔히 다루지 말고 치료원칙을 지켜야 한다. 상한은 종류가 많고 조례(條例)가 복잡하므로 갈라 보기 곤란하다. 음(陰)이 극심하면 날치고[發躁] 열이 극심하면 싸늘해진다. 음증은 양증과 비슷하고 양증은 음증과 비슷하며 각기는 상한과 비슷하고 중서(中暑)는 열병과 비슷하다. 그러므로 정확하게 갈라 보아야 한다. 유사한 증상을 가르지 못하고서는 함부로 약을 쓰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약은 비록 적은 양이지만 생명과 관계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는 것이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담열(痰熱) 723
[침구(針灸)] 뜸뜨는 방법[灸法] 722
[꿈(夢)] 침뜸치료[鍼灸法]/꿈 722
[진액(津液)] 눈물[泣] 722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기운이 끊어지는 증후[大腸絶候] 722
[한(寒)] 상한은 중한 병이다[傷寒號爲大病] 722
[기침(咳嗽)] 이질을 앓고 난 뒤에 생기는 해역[痢後咳逆] 722
[입과 혀(口舌)] 입과 혀[口舌]는 5가지[五味] 맛을 주관한다[口舌主五味] 721
[피부(皮)] 반진의 예후[?疹吉凶證] 721
[후음(後陰)] 맥치(脈痔) 721
[한(寒)] 소양병 때의 괴증[少陽病壞證] 721
[한(寒)] 태음병 때 배가 아픈 것[太陰病腹痛] 721
[해독(解毒)] 파두중독[巴豆毒] 721
[신장(腎臟)] 신기가 끊어진 증후[腎絶候] 720
[코(鼻)] 재채기[鼻?] 720
[골(骨)] 뼈가 상한 증[骨傷證] 720
[해독(解毒)] 수은중독[水銀毒] 720
[부인(婦人)] 장조증(藏燥證) 720
[소아(小兒)]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720
[침구(針灸)] 계족침법(鷄足鍼法) 719
[눈(眼)] 고풍작목(高風雀目) 719
[채소(菜部)] 호과(胡瓜, 오이) 호과엽(胡瓜葉, 오이잎) 호과근(胡瓜根, 오이뿌리) 719
[심장(心臟)] 심기가 끊어진 증후[心絶候] 718
[삼초부(三焦腑)] 단방(單方)/3초부 718
[대변(大便)] 맥 보는 법[脈法]/대변 718
[눈(眼)] 간장적열(肝臟積熱) 718
[가슴(胸)] 풍심통(風心痛) 718
[한(寒)] 소음병 때에 맥이 끊어지는 것[少陰病脈絶] 718
[한(寒)] 호혹증(狐惑證) 718
[소갈(消渴)] 소갈은 신화가 쇠약하여 생긴다[消渴由坎火衰少]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