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양명병 때 좋지 못한 증상[陽明病惡候]

한닥터 2011.09.05 조회 수 612 추천 수 0
◎ 陽明病惡候 ○ 傷寒若吐若下後不解不大便五六日至十餘日日?所發潮熱不惡寒狂言如見鬼狀若劇者發則不識人循衣摸床?而不安微喘直視脈弦者生脈?者死[仲景] ○ 微者但發熱?語宜大承氣湯下之一服利則止後服脈弦者生脈?者死[得效] ○ 一人病傷寒大便不利日?發潮熱手循衣縫兩手撮空直視喘急諸醫皆走此誠惡候仲景雖有證而無法但云脈弦者生脈?者死?且救之與小承氣湯一服而大便利諸疾漸退脈且微弦半月愈或問曰脈弦者生何也予曰錢仲陽云手尋衣領及捻物者肝熱也此證在玉函列於陽明部盖陽明者胃也肝有熱邪淫于胃經故以承氣瀉之且得弦脈則肝平而胃不受剋此有生之理也[本事]

☞ 양명병 때 좋지 못한 증상[陽明病惡候]

 ○ 상한 때 토하게 하고 설사시켜도 풀리지 않고 대변을 5-6일 또는 10여 일 동안 보지 못하며 해질 무렵에 조열이 나면서 오한은 없고 마치 헛것에 들린 것처럼 헛소리를 하는 것은 양명병의 좋지 못한 증상이다. 심해지면 사람도 알아보지 못하고 헛손질을 하면서 놀라고 숨차 하며 곧추 보게 된다. 이때에 맥이 현(弦)하면 살고 색(?)하면 죽는다[중경]. ○ 경(輕)하면 열이 나면서 헛소리만 하는데 이때에는 대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만일 한번 먹고 설사하면 설사약을 그만두어야 한다. 이때에도 맥이 현(弦)하면 살 수 있고 색(?)하면 죽는다[득효]. ○ 어떤 사람이 상한을 만나서 대변을 보지 못하고 해질 무렵이 되면 조열이 나며 헛손질을 하고 곧추 보며 몹시 숨차 하였는데 여러 의사들이 다 치료하지 못할 증상으로 인정하였다. 중경은 "이런 증은 있지만 치료하는 방법은 없다고 하면서 맥이 현(弦)하면 살고 색(?)하면 죽는다"고 하였다. 그런데 소승기탕을 한번 먹이니 대변이 풀리고 여러 가지 증상도 점차 풀렸으며 맥이 약간 현해지면서 반 달 만에는 나았다. 그러자 어떤 사람이 "맥이 현(弦)하면 살 수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무엇 때문인가"고 물었다. 나는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대답해 주었다. "이전에 전중양(錢仲陽)이 헛손질을 하는 것은 간(肝)에 열(熱)이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는데 그런 증상은 『옥함(玉函)』이라는 책의 양명부에 씌어 있다. 양명이란 위(胃)를 말한다. 그런데 간에 있던 열사(熱邪)가 위경(胃經)으로 침범했을 때에는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그러면 현맥(弦脈)이 나타나면서 간(肝)이 고르게 되고 위(胃)가 열사의 침입을 받지 않게 된다. 때문에 살 수 있는 것이다"[본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변증(辨證)] 표와 본이 서로 반대되는 것[標本相反] 454
[변증(辨證)] 오한과 오열[惡寒惡熱] 523
[변증(辨證)] 영위에 병이 생긴 것[榮衛生病] 515
[변증(辨證)] 음식을 먹는 것과 먹지 못하는 것[能食不能食] 405
[변증(辨證)] 병이 실한 것인가 허한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凡病辨有餘不足] 495
[변증(辨證)] 병에 형체가 있는 것과 없는 것[凡病有形無形] 437
[변증(辨證)] 3초가 작용하지 못하는 것[三焦不歸] 456
[변증(辨證)] 2시, 4이, 4기[二尸四異四奇] 449
[변증(辨證)] 남자와 여자 병의 원인[男女病因] 543
[변증(辨證)] 오르내리는 것이 제대로 되지 못하면 병이 생긴다[升降失常爲病] 423
[변증(辨證)] 음증과 양증을 갈라야 한다[辨陰陽二證] 537
[변증(辨證)] 내상과 외상을 갈라야 한다[辨內傷外傷] 387
[변증(辨證)] 8허에 생긴 증후는 5장과 관련이 있다[八虛候五臟] 367
[변증(辨證)] 사람은 7일 동안 먹지 못하면 죽는다[人不食七日死] 362
[변증(辨證)] 병에는 5가지 역증이 있다[病有五逆] 345
[변증(辨證)] 5가지 맛은 들어가는 곳이 있다[五味所入] 333
[변증(辨證)] 5장 기운으로 생기는 병[五氣所病] 310
[변증(辨證)] 5정소병(五精所幷) 312
[변증(辨證)] 5장이 싫어하는 것[五臟所惡] 362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진액[五臟化液] 364
[변증(辨證)] 5가지 맛을 꺼릴 것[五味所禁] 341
[변증(辨證)] 5병소발(五病所發) 389
[변증(辨證)] 5사소란(五邪所亂) 349
[변증(辨證)] 5사맥이 나타나는 것[五邪所見] 344
[변증(辨證)] 5장이 간직하고 있는 것[五臟所藏] 302
[변증(辨證)] 5장이 주관하는 것[五臟所主] 303
[변증(辨證)] 5로소상(五勞所傷) 360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5가지 맥[五脈應象] 359
[진맥(診脈)]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6가지 주되는 맥[天和六脈] 476
[진맥(診脈)] 맥은 반드시 생기가 있어야 한다[脈當有神] 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