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양명허증 때에는 보해야 한다[陽明虛證宜補]

한닥터 2011.09.05 조회 수 562 추천 수 0
◎ 陽明虛證宜補 ○ 一人傷寒發狂欲走脈虛數用柴胡湯反劇以參?歸朮陳皮甘草煎湯一服狂定再服安睡而愈[海藏] ○ 嘗治循衣摸床者數人皆用大補氣血之劑惟一人兼?振脈代遂於補劑中略加桂亦振止脈和而愈[綱目]

☞ 양명허증 때에는 보해야 한다[陽明虛證宜補]

 ○ 어떤 사람이 상한에 걸려 미쳐서 달아나려고 하고 맥이 허삭(虛數)하였는데 시호탕을 먹이니 병이 더 악화되었다. 그리하여 인삼, 황기, 백출, 당귀, 陳皮, 감초를 달여 한번 먹였더니 미친 증상이 진정되었다. 그리하여 다시 먹였는데 완전히 나았다[해장]. ○ 이전에 헛손질하는 환자 몇 사람을 다 기혈(氣血)을 세게 보하는 약으로 치료하였다. 그러나 한 사람만은 헛손질하면서 살이 푸들거리고[振] 맥이 가끔 끊어졌다. 그리하여 보약처방에 계지를 조금 넣어서 달여 먹였는데 살이 푸들거리던 것이 멎고 맥이 고르게 되면서 나았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괴질(怪疾)] 합정질(蛤精疾) 565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565
[흙(土部)] 동벽토(東壁土, 동쪽벽의 흙) 565
[곡식(穀部)] 황량미(黃粱米) 565
[침구(針灸)] 구궁고신도 564
[가슴(胸)] 비기(?氣)에 찜질하는 방법[??氣法] 564
[기침(咳嗽)] 여러 가지로 상해서 숨찬 증과 기침이 나는 것[諸傷發喘嗽] 564
[기침(咳嗽)] 해역증(咳逆證) 564
[곡식(穀部)] 두부(豆腐) 564
[과실(果部)] 이핵인(李核仁, 오얏씨) 이근백피(李根白皮) 이엽(李葉) 이실(李實) 564
[풀(草部)] 현삼(玄蔘) 563
[입과 혀(口舌)] 맥 보는 법[脈法]/입과 혀 563
[변증(辨證)] 사기와 정기가 허하거나 실한 것[邪精虛實] 563
[제상(諸傷)] 전갈한테 쏘인 것[蝎?傷] 563
[물고기(魚部)] 은조어(銀條魚, 도루묵) 563
[침구(針灸)] 병을 치료하는 데 주요한 혈[主病要穴] 562
[목구멍(咽喉)] 인후가 갑자기 막힌 데는 침을 놓는다[咽喉急閉宜鍼] 562
[한(寒)] 양명허증 때에는 보해야 한다[陽明虛證宜補] 562
[한(寒)] 망양증(亡陽證) 562
[구토(嘔吐)] 치료하기 어렵거나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562
[해독(解毒)] 꺼릴 것[禁忌法] 562
[해독(解毒)] 말독에 중독된 것[馬毒] 562
[이빨(牙齒)] 신 것을 먹어서 이빨이 시큰거리는 것[食酸齒?] 561
[풍(風)] 갑자기 넘어지는 것[暴?] 561
[창만(脹滿)] 단방(單方) 561
[해독(解毒)] 반묘나 원청에 중독된 것[斑猫?靑毒] 561
[잡방(雜方)] 흉년에 음식을 먹지 않고도 사는 방법[救荒?穀方] 561
[소아(小兒)] 풍한열(風寒熱) 561
[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要得術] 560
[한(汗)] 땀을 많이 내면 망양증이 생긴다[汗多亡陽] 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