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452 추천 수 0
? 陰陽厥輕重 ○ 傷寒至四五日而厥者必發熱前熱者後必厥厥深者熱亦深厥微者熱亦微[仲景] ○ 傷寒厥四日熱反三日復厥五日其病爲進厥多熱少陽氣退故爲進也[仲景] ○ 傷寒發熱四日厥反三日厥少熱多其病當自愈[仲景] ○ 傷寒病厥五日熱亦五日設六日當復厥不厥者自愈厥終不過五日以熱五日故知自愈[仲景] ○ 熱多厥少者易愈厥多熱少者難已[入門]

☞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 상한에 걸린 지 4-5일이 되어 손발이 싸늘해지면[厥] 반드시 열이 난다. 그리고 먼저 열이 나면 후에 반드시 손발이 싸늘해지는데 열이 몹시 났으면 몹시 싸늘해지고 열이 덜 났으면 덜 싸늘해진다[중경]. ○ 상한 때에 4일 동안 손발이 싸늘하다가[厥] 3일 동안 열이 나고 다시 5일 동안 손발이 싸늘해지는 것은 그 병이 점점 더 진전되는 것이다. 대체로 손발이 몹시 싸늘하고 열이 덜 나는 것은 양기가 쇠퇴되어 병이 더 심해지는 것이다[중경]. ○ 상한 때에 4일 동안 열이 나다가 3일 동안 손발이 싸늘해지는 것은 손발이 덜 싸늘하고 열이 심한 것인데 이런 것은 저절로 낫는다[중경]. ○ 상한 때에는 5일 동안 손발이 싸늘하다가 5일 동안은 열이 나고 6일이 되어서는 다시 손발이 싸늘해지는데 다시 손발이 싸늘해지지 않아야 병이 저절로 낫는다. 그것은 손발이 싸늘해지면 5일이 지나지 않아 열이 나는 법인데 5일이 지난 것으로 보아 저절로 나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중경]. ○ 열이 몹시 나고 약간 싸늘하면 쉽게 낫고 몹시 싸늘하고 약간 열이 나면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변증(辨證)] 5정소병(五精所幷) 312
[변증(辨證)] 5장이 싫어하는 것[五臟所惡] 362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진액[五臟化液] 364
[변증(辨證)] 5가지 맛을 꺼릴 것[五味所禁] 341
[변증(辨證)] 5병소발(五病所發) 389
[변증(辨證)] 5사소란(五邪所亂) 349
[변증(辨證)] 5사맥이 나타나는 것[五邪所見] 344
[변증(辨證)] 5장이 간직하고 있는 것[五臟所藏] 302
[변증(辨證)] 5장이 주관하는 것[五臟所主] 303
[변증(辨證)] 5로소상(五勞所傷) 360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5가지 맥[五脈應象] 359
[진맥(診脈)]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6가지 주되는 맥[天和六脈] 476
[진맥(診脈)] 맥은 반드시 생기가 있어야 한다[脈當有神] 520
[진맥(診脈)] 맥에는 위기가 기본이다[脈以胃氣爲本] 477
[진맥(診脈)] 진장맥(眞臟脈) 624
[진맥(診脈)] 손맥과 지맥[損至脈] 636
[진맥(診脈)] 이경맥(離經脈) 415
[진맥(診脈)] 남정과 북정의맥[南北政脈] 412
[진맥(診脈)] 지대맥으로 죽는 시기를 알 수 있다[止代脈定死期] 403
[진맥(診脈)] 색, 촉, 결, 대, 맥은 다 도중에 멎는 맥이다[?促結代脈皆中止] 494
[진맥(診脈)] 음맥과 양맥[陰陽脈] 736
[진맥(診脈)] 잔적맥(殘賊脈) 400
[진맥(診脈)] 호맥(互脈) 510
[진맥(診脈)] 청고무맥(淸高無脈) 442
[진맥(診脈)] 병이 심할 때에는 반드시 태계맥과 충양맥을 짚어 보아야 한다[凡病革必診太谿衝陽] 677
[진맥(診脈)] 맥이 대(大)한 것은 병이 진행되는 것이다[脈大病進] 430
[진맥(診脈)] 촌구맥이 평하면 죽을 수 있다[寸口脈平猶死] 861
[진맥(診脈)] 맥과 증상이 반대되는 것[脈從病反] 434
[진맥(診脈)] 맥이 끊어져서 나타나지 않은 것[脈絶不見] 462
[진맥(診脈)] 맥을 짚어 보는 데는 가볍게 눌러 보는 것과 힘주어 눌러 보는 것이 있다[診有輕重] 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