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452 추천 수 0
? 陰陽厥輕重 ○ 傷寒至四五日而厥者必發熱前熱者後必厥厥深者熱亦深厥微者熱亦微[仲景] ○ 傷寒厥四日熱反三日復厥五日其病爲進厥多熱少陽氣退故爲進也[仲景] ○ 傷寒發熱四日厥反三日厥少熱多其病當自愈[仲景] ○ 傷寒病厥五日熱亦五日設六日當復厥不厥者自愈厥終不過五日以熱五日故知自愈[仲景] ○ 熱多厥少者易愈厥多熱少者難已[入門]

☞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 상한에 걸린 지 4-5일이 되어 손발이 싸늘해지면[厥] 반드시 열이 난다. 그리고 먼저 열이 나면 후에 반드시 손발이 싸늘해지는데 열이 몹시 났으면 몹시 싸늘해지고 열이 덜 났으면 덜 싸늘해진다[중경]. ○ 상한 때에 4일 동안 손발이 싸늘하다가[厥] 3일 동안 열이 나고 다시 5일 동안 손발이 싸늘해지는 것은 그 병이 점점 더 진전되는 것이다. 대체로 손발이 몹시 싸늘하고 열이 덜 나는 것은 양기가 쇠퇴되어 병이 더 심해지는 것이다[중경]. ○ 상한 때에 4일 동안 열이 나다가 3일 동안 손발이 싸늘해지는 것은 손발이 덜 싸늘하고 열이 심한 것인데 이런 것은 저절로 낫는다[중경]. ○ 상한 때에는 5일 동안 손발이 싸늘하다가 5일 동안은 열이 나고 6일이 되어서는 다시 손발이 싸늘해지는데 다시 손발이 싸늘해지지 않아야 병이 저절로 낫는다. 그것은 손발이 싸늘해지면 5일이 지나지 않아 열이 나는 법인데 5일이 지난 것으로 보아 저절로 나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중경]. ○ 열이 몹시 나고 약간 싸늘하면 쉽게 낫고 몹시 싸늘하고 약간 열이 나면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주마감(走馬疳) 676
[곡식(穀部)] 장(醬) 676
[발(足)] 각기를 달리 부르는 이름[脚氣異名] 675
[발(足)] 각기병(脚氣病)의 원인[脚氣病因] 675
[후음(後陰)] 기치(氣痔) 675
[부인(婦人)] 여자를 보는 법[相女法] 675
[소아(小兒)] 풍한에 감촉된 것[感冒風寒] 675
[물고기(魚部)] 석수어(石首魚, 조기) 675
[대장부(大腸腑)] 대소장에 달린 줄[大小腸連系] 674
[머리(頭)] 취후두통 674
[새(禽部)] 작육(雀肉, 참새고기) 674
[맥(脈)] 27가지 맥(脈) 673
[한(寒)] 상한 때의 장결[傷寒藏結] 673
[화(火)] 손으로 눌러 보아 열이 깊이 있고 얕게 있는 것을 알 수 있다[手按辨熱深淺] 673
[창만(脹滿)] 창만을 치료하는 방법[脹滿治法] 673
[온역(瘟疫)] 장역(?疫) 673
[잡방(雜方)] 몸에서 향기가 나게 하는 방법[香身法] 673
[목소리(聲音)] 벙어리에는 두 가지가 있다[??有二] 672
[신장(腎臟)] 신장이 주관하는 날짜[腎主時日] 672
[젖(乳)] 남자와 여자는 젖과 신이 근본이 된다[男女乳腎爲根本] 672
[머리털(毛髮)] 머리털은 신에 속한다[髮屬腎] 672
[후음(後陰)] 치질의 원인[痔病之因] 672
[풍(風)] 훈증하는 방법[熏法] 672
[적취(積聚)] 육적(肉積) 672
[옹저(癰疽)] 옹저 때 구역이 나는 것[癰疽嘔逆] 672
[물(水部)] 옥류수(屋?水, 볏짚 지붕에서 흘러 내린 물) 672
[새(禽部)] 오웅계육(烏雄鷄肉, 검은 수탉의 고기) 672
[짐승(獸部)] 해달(海獺, 바다수달) 672
[과실(果部)] 율자(栗子, 밤) 율피(栗皮, 밤껍질) 율모각(栗毛殼, 밤송이) 율설(栗楔, 밤의 가운데 톨) 672
[귀(耳)] 귀에 여러 가지 벌레가 들어간 것[諸蟲入耳] 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