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궐과 사역은 같지 않다[厥與四逆不同]

한닥터 2011.09.08 조회 수 521 추천 수 0
? 厥與四逆不同 ○ 四逆者四肢不溫也厥者手足逆冷也傷寒邪在三陽則手足必熱傳到太陰手足自溫至少陰則邪熱漸深故四肢逆而不溫及至厥陰則手足厥冷是又甚於逆其四逆散凉藥以治四肢不溫其四逆湯熱藥以治寒極而成逆厥者也四肢通冷比之手足獨冷則有間夫死者以四逆言之可治者以厥冷言則亦可見四逆與手足厥冷之有輕重淺深矣盖四肢通冷其病爲重手足獨冷其病爲輕也四肢與手足却有所分以四字加於逆字之上是通指手足臂脛以上言也以手足二字加於厥逆厥冷之上是獨指手足言也盖以四逆爲四肢通冷厥爲手足獨冷也[東垣]

☞ 궐과 사역은 같지 않다[厥與四逆不同]

 ○ 사역(四逆)이라는 것은 팔다리가 따뜻하지 않은 것이고 궐(厥)이라는 것은 손발이 싸늘한 것[逆冷]이다. 상한 때에 사기가 3양(三陽)에 있으면 손발이 반드시 달고 이것이 태음(太陰)에 전경(傳經)되면 손발이 저절로 따뜻해진다. 사기(邪氣)가 소음(少陰)에 들어가면 열이 점점 깊이 들어가게 되므로 팔다리가 싸늘해졌다가 따뜻해지지 않는다. 궐음(厥陰)에 들어가면 손발이 싸늘해진다. 이것은 사역보다 심한 것이다. 사역산은 성질이 서늘한 약이기 때문에 팔다리가 따뜻하지 못한 것을 치료하며 사역탕은 성질이 더운약이므로 찬 기운이 심하여 손발이 싸늘한 것을 치료한다. 팔다리가 다 찬 것은 손발만 싸늘한 것과 차이가 있는데 팔다리가 싸늘하면 죽고 손발만 싸늘하면 살 수 있다. 이와 같이 팔다리가 다 싸늘한 것과 손발만 싸늘한 데는 중(重)한 것과 경(輕)한 것, 깊은 것과 얕은 것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체로 팔다리가 다 싸늘하면 병이 중하고 손발만 싸늘하면 병이 경하다. 팔다리와 손발이란 의미가 다른데 '넉 사(四)'자를 '거스를 역(逆)'자의 위에 덧붙여 사역(四逆)이라고 한 것은 손발과 팔뚝과 정강이 위를 가리켜 말한 것이고 수족(手足)이라는 두 글자를 궐역(厥逆) 또는 궐랭(厥冷)이라는 글자 위에 덧붙인 것은 손발만 가리켜 말한 것이다. 대체로 사역(四逆)이라는 것은 팔다리가 다 싸늘한 것을 의미하고 궐(厥)은 손발만 싸늘한 것을 의미한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맥(診脈)] 늙은이와 젊은이의 맥과 남자와 여자의 맥이 다르다[老少男女異脈] 863
[진맥(診脈)] 살이 쪘거나 여윈 것, 키가 크거나 작은 데 따라 맥이 다르다[肥瘦長短異脈] 485
[진맥(診脈)] 모든 맥의 중요한 지침[諸脈綱領] 480
[진맥(診脈)] 모든 맥에 따르는 병증[諸脈病證] 512
[진맥(診脈)] 죽을 수 있는 것을 예견하는 여러 가지 맥[諸死脈] 485
[진맥(診脈)] 10가지 이상한 맥[十怪脈] 628
[용약(用藥)] 최근의 의학이론에 대하여[近世論醫] 504
[용약(用藥)] 형기(形氣)의 상태에 따라 보(補)하거나 사(瀉)해야 한다[形氣用補瀉] 587
[용약(用藥)] 약을 쓰는 대체적 방법[用藥大體] 533
[용약(用藥)] 수와 화를 갈라 치료하는 데 대한 노래[水火分治歌] 627
[용약(用藥)] 표본을 갈라 치료하는 데 대한 노래[標本分治歌] 492
[용약(用藥)] 병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본을 치료해야 한다[治病必求於本] 581
[용약(用藥)] 병이 급할 때에는 표를 치료하고 완만할 때에는 본을 치료해야 한다[急則治標緩則治本] 407
[용약(用藥)] 표와 본에 생긴 병에 약쓰는 선후차[標本用藥先後] 457
[용약(用藥)] 태양과 소음의 표병과 본병에 약을 다르게 쓴다[太陽少陰標本異藥] 459
[용약(用藥)] 자연과 조화되는 것이 상하지 않게 해야 한다[毋伐天和] 435
[용약(用藥)] 약을 쓰는 기본 방법[用藥大法] 484
[용약(用藥)] 약을 쓸 때에는 반드시 시금(時禁), 경금(經禁), 병금(病禁), 약금(藥禁)을 알아야 한다[凡用藥必知時禁經禁病禁藥禁] 502
[용약(用藥)] 5가지 울증에 대한 치료법[五鬱治法] 594
[용약(用藥)] 약은 병에 맞게 변통해서 써야 한다[用藥權變] 389
[용약(用藥)] 땀을 내거나 설사시킬 때 주의해야 할 점[汗下之戒] 404
[용약(用藥)] 유능한 의사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上工治未病] 441
[용약(用藥)] 허하고 실한 데 따라 보하거나 사해야 한다[虛實補瀉] 471
[용약(用藥)] 보하고 사하는 묘한 비결[補瀉妙訣] 504
[용약(用藥)] 보하는 것과 사하는 것이 겸(兼)해진 것[補瀉相兼] 474
[용약(用藥)] 소속을 찾아 치료하는 방법[求屬之法] 397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3가지 방법[治病三法] 490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5가지 방법[療病五法] 533
[용약(用藥)]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滋化源] 3286
[용약(用藥)] 자모보사[子母補瀉] 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