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음양교증(陰陽交證)

한닥터 2011.09.09 조회 수 440 추천 수 0
◎ 陰陽交證 ○ 黃帝問曰有病溫者汗出輒復熱而脈躁疾不爲汗衰狂言不能食病名爲何岐伯曰病名陰陽交交者死也帝曰願聞其說岐伯曰人所以汗出者皆生於穀穀生於精今邪氣交爭於骨肉而得汗者是邪却而精勝也精勝則當能食而不復熱復熱者邪氣也汗者精氣也今汗出而輒復熱者是邪勝也不能食者精無?也病而留者其壽可立而傾也且夫熱論曰汗出而脈尙躁盛者死狂言者是失志失志者死[內經] ○ 發汗後脈躁疾狂言不能食謂之陰陽交言交合陰陽之氣不可分別此死證也[入門]

☞ 음양교증(陰陽交證)

 ○ 황제가 묻기를 "온병(溫病)에 땀을 냈는 데도 걸핏하면 열이 나고 맥이 몹시 빠르며 땀이 나지 않고 쇠약하여 미친 소리를 하며 먹지 못하는 것은 무슨 병이라고 하는가" 기백이 대답하기를 "병의 이름은 음양교(陰陽交)라고 하는데 교(交)란 죽는다는 것이다"고 하였다. 황제가 그 이유를 물으니 기백이 대답하기를 "사람에게서 나오는 땀은 음식에서 생기고 음식에서는 정기(正氣)가 생긴다. 그런데 지금 정기와 사기(邪氣)가 몸안에서 싸워 땀이 나는 것은 사기가 물러나고 정기가 이긴 것이다. 정기가 이기면 잘 먹고 다시 열이 나지 않는다. 다시 열이 나는 것은 사기 때문이다. 땀은 정기이다. 지금 땀이 나면서 걸핏하면 열이 나는 것은 사기가 이긴 것이고 먹지 못하는 것은 정기가 없기 때문이다. 병으로 사기가 머물러 있으면 수명이 오래 가지 못한다"고 하였다. 또 열론(熱論)에는 "땀이 나면서도 도리어 맥이 몹시 빠르면 죽고 미친 소리를 하는 것은 정신을 잃은 것이다. 정신을 잃으면 죽는다"고 하였다[내경]. ○ 땀을 낸 후 맥이 몹시 빠르고 미친 말을 하며 먹지 못하는 것은 음양교(陰陽交)이다. 이것은 음기와 양기가 뒤섞여 분간할 수 없는 것인데 이것은 죽을 수 있는 증상이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물(水部)] 온천물[溫泉] 526
[물(水部)]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498
[물(水部)] 장수(漿水, 신좁쌀죽의 윗물을 말한다.) 965
[물(水部)] 지장수(地漿, 누런 흙물을 말한다.) 685
[물(水部)] 요수(?水, 산골에 고인 빗물을 말한다.) 554
[물(水部)] 생숙탕(生熟湯, 끓는 물에 찬 물을 탄 것을 말한다.) 1040
[물(水部)] 열탕(熱湯, 뜨겁게 끓인 물을 말한다.) 625
[물(水部)] 마비탕(麻沸湯, 생삼을 삶은 물을 말한다.) 546
[물(水部)] 조사탕(繰絲湯) 426
[물(水部)] 증기수(甑氣水) 392
[물(水部)] 동기상한(銅器上汗, 동기에 오른 김) 438
[물(水部)] 취탕(炊湯, 숭늉) 501
[물(水部)] 육천기(六天氣) 533
[흙(土部)] 약으로 쓰는 흙[土部] 506
[흙(土部)] 복룡간(伏龍肝, 오랜 가마밑 아궁이바닥의 누런 흙이다.) 532
[흙(土部)] 동벽토(東壁土, 동쪽벽의 흙) 565
[흙(土部)] 서벽토(西壁土, 서쪽벽의 흙) 468
[흙(土部)] 호황토(好黃土, 좋은 황토) 701
[흙(土部)] 적토(赤土) 501
[흙(土部)] 백악(白惡, 백토) 539
[흙(土部)] 해금사(海金沙, 실고사리알 씨) 545
[흙(土部)] 정저사(井底沙, 우물 밑의 모래) 488
[흙(土部)] 6월하중열사(六月河中熱沙, 6월에 강가에 있는 뜨거워진 모래) 499
[흙(土部)] 도중열진토 463
[흙(土部)] 토봉과상토(土蜂?上土, 땅벌집 위의 흙) 713
[흙(土部)] 단철조중회 412
[흙(土部)] 동회(冬灰, 명아주 태운 재) 528
[흙(土部)] 상시회(桑柴灰, 뽕나무 재) 634
[흙(土部)] 백초회(百草灰, 100가지 풀을 태운 재) 637
[흙(土部)] 백초상(百草霜) 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