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땀을 내는 법[發汗法]

한닥터 2011.09.16 조회 수 422 추천 수 0
? 發汗法 ○ 凡發汗欲令手足皆周至??然一時間許益佳不可令如水淋?耳若病不解當重發汗汗多則亡陽亡陽不得重發汗也[仲景] ○ 凡發汗腰以上則如常覆之腰以下則厚衣覆之腰以上雖淋?而腰以下至足微潤則病終不解[活人] ○ 凡發汗服湯其方雖言日一二服若病劇不解當促其服可半日間盡一二服連服三劑乃解若汗不出者死病也[仲景] ○ 凡發汗病證仍在者三日內可二三汗之周遍爲度若未汗可作熱粥投之粥內加?白甚妙[仲景] ○ 凡服藥發汗中病卽止不必盡劑恐汗大過作亡陽證也吐下亦如之[仲景]

☞ 땀을 내는 법[發汗法]

 ○ 대개 땀을 낼 때에는 손발과 온몸에 축축하게 2시간 가량 내는 것이 더욱 좋고 물을 끼얹은 것처럼 흘러내리게 내지 말아야 한다. 만일 병이 낫지 않으면 다시 한번 땀을 낼 것이다. 땀을 지나치게 내면 망양증이 된다. 망양증(亡陽證)이 되면 거듭 땀을 내지 못한다[중경]. ○ 대체로 땀을 낼 때에는 허리 위는 평상시와 같이 덮고 허리 아래는 두터운 이불을 덮어야 한다. 허리의 위로는 비록 땀을 흘러내리게 냈지만 허리의 아래에서 발까지는 약간 축축하게 내면 병은 종시 낫지 않는다[활인]. ○ 땀낼 약을 먹을 때에는 비록 하루 한두번을 먹으라고 하였지만 병이 심하여 낫지 않으면 시간을 단축하여 한나절 동안 한두번에 다 먹든가 또는 3첩을 연거푸 먹으면 낫는다. 만일 땀이 나지 않으면 죽을 병이다[중경]. ○ 땀을 내야 할 병증이 계속 있으면 3일 안으로 두세번 땀을 내되 온몸에서 나도록 할 것이다. 만일 땀이 나지 않으면 뜨거운 죽을 먹되 죽에 파밑(총백)을 넣은 것이 매우 좋다[중경]. ○ 약을 먹어 땀을 내는 것이 병에 맞으면 더 먹지 말아야 한다. 땀을 지나치게 내면 망양증이 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는 것도 이와 같다[중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제창(諸瘡)] 열독창(熱毒瘡) 425
[부인(婦人)] 체현자차지법(體玄子借地法) 425
[풀(草部)] 회향(茴香) 424
[변증(辨證)] 3대를 내려온 의사를 귀중히 여긴다[醫貴三世] 424
[변증(辨證)] 오르내리는 것이 제대로 되지 못하면 병이 생긴다[升降失常爲病] 423
[부인(婦人)] 해산 후에 젖몸이 늘어지는 증[産後乳懸證] 423
[소아(小兒)]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423
[소아(小兒)] 신열(腎熱) 423
[곡식(穀部)] 부(?, 밀기울) 423
[한(寒)] 땀을 내는 법[發汗法] 422
[해독(解毒)] 여러 가지 짐승고기에 중독된 것[諸獸肉毒] 422
[짐승(獸部)] 상아(象牙) 422
[변증(辨證)] 정상이 아닌 것은 병이다[反常爲病] 421
[해독(解毒)] 국수중독[麵毒] 421
[잡방(雜方)] 몇가지 방법[諸法] 42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짐승(獸部)] 누서(?鼠, 날다람쥐) 421
[풀(草部)] 비해(??) 420
[침구(針灸)]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420
[눈(眼)] 눈병 때 꺼려야 할 것[眼病禁忌] 420
[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420
[제창(諸瘡)] 단방(單方) 420
[해독(解毒)] 오독도기중독[狼毒毒] 420
[해독(解毒)] 철죽중독 420
[잡방(雜方)] 옥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軟玉法] 420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침구(針灸)] 족소양담경의 순행[足少陽膽經流注] 419
[심병(審病)] 5장은 속을 지키는 것이다[五臟者中之守] 419
[한(寒)] 상한에 5가지가 있다[傷寒有五種] 419
[한(寒)] 상한의 16가지 이름[傷寒十六名]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