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설사시켜야 한다[下後熱不退宜再下]

한닥터 2011.09.16 조회 수 462 추천 수 0
? 下後熱不退宜再下 ○ 下後熱不退再三下之熱愈盛脈微氣虛力弱不加以法則無可生之理若輟而不下則邪熱極盛陰氣極衰脈息斷絶必不可救如此之證是下之亦死不下亦死醫者到此殺人活人一彈指間耳[河間] ○ 經云三下而熱不退者死後人有三四次加至十數行而生者此乃偶然誤中耳後學切不可以爲法但用解毒湯合凉膈散調之庶不失人命[河間] ○ 汗下後熱不退不問有汗無汗宜白虎湯加人參蒼朮解之妙[河間]

☞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설사시켜야 한다[下後熱不退宜再下]

 ○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두세번 설사시킨다. 열이 더욱 성하고 맥이 미(微)하고 기력이 허약할 때에 법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살 수 없다. 만일 설사시키지 않으면 사열(邪熱)이 몹시 성하고 음기(陰氣)가 몹시 쇠약하여 맥이 끊어지면 반드시 구원하지 못한다. 이러한 증은 설사시켜도 죽고 설사시키지 않아도 죽는다. 의사가 이런 환경에 마주치면 사람을 죽이고 살리는 것은 순식간에 한다[하간]. ○ 『경(經)』에는 "설사를 세번 시켜도 열이 내리지 않는 것은 죽을 수 있다"고 씌어 있다. 그런데 후세사람들이 서너번 심지어 십여 번 설사시켰어도 살아난 것은 우연히 맞은 것이므로 우리가 본받을 것이란 없다. 다만 해독탕과 양격산을 합하여 치료하기만 하면 생명을 잃지 않을 것이다[하간]. ○ 땀을 내고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땀이 나든 안 나든 간에 백호탕에 인삼과 창출을 더 넣어 써서 풀어 주는 것이 좋다[하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토[吐]] 도창법(倒倉法) 825
[토[吐]] 도창법을 쓸 때에는 반드시 답답하고 괴로운 것을 참아야 한다[倒倉順忍煩惱] 555
[토[吐]] 도창법의 의의[倒倉之義] 495
[토[吐]] 하천고(霞天膏) 630
[한(汗)] 땀[汗] 566
[한(汗)] 여름에는 땀내는 것이 좋다[夏宜汗] 528
[한(汗)] 땀을 너무 일찍이 내지 말아야 한다[汗無太早] 518
[한(汗)] 땀을 내는 방법[發汗法] 772
[한(汗)] 땀을 천천히 내는 것과 빨리 내는 것[發汗緩急] 472
[한(汗)] 한증하여 땀을 내는 것[蒸劫發汗] 520
[한(汗)] 땀을 자주 내면 수명이 짧아진다[促汗夭壽] 557
[한(汗)] 땀을 내야 할 증[可汗證] 555
[한(汗)] 땀을 내지 말아야 할 증[不可汗證] 520
[한(汗)] 땀을 많이 내면 망양증이 생긴다[汗多亡陽] 560
[한(汗)] 해기(解肌) 538
[한(汗)] 단방(單方)/땀(汗) 515
[하(下)] 설사[下] 417
[하(下)] 가을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秋宜下] 441
[하(下)] 설사를 너무 늦게 시키는 말아야 한다[下無太晩] 498
[하(下)] 설사시켜야 할 증[宜下證] 459
[하(下)] 설사를 빨리 시키는 방법[促下法] 524
[하(下)] 설사를 너무 시키면 망음증이 생긴다[下多亡陰] 495
[하(下)] 설사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下法宜愼] 451
[하(下)] 설사를 몹시 시킨 다음 설사가 멎지 않는 것[大下後難禁] 755
[하(下)] 설사시키는 약[下藥] 1222
[하(下)] 단방(單方) /하(下) 504
[풍(風)] 중풍의 전구증상[中風微漸] 711
[풍(風)]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1205
[풍(風)] 열은 풍을 생기게 한다[熱生風] 899
[풍(風)] 살찐 사람은 흔히 중풍에 걸린다[肥人多中風] 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