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상한에 삼가하고 꺼려야 할 것[傷寒戒忌]

한닥터 2011.09.16 조회 수 401 추천 수 0
◎ 傷寒戒忌 ○ 傷寒新差後但少喫?粥常令稍飢不得飽食反此則復 ○ 不得早起不得梳頭洗面不得多言不得勞心費力反此則復 ○ 差後百日內氣體未復犯房室者死 ○ 忌食羊鷄狗肉肥魚油?諸骨汁及鹹藏?脯油餠?等物病則再發[局方]

☞ 상한에 삼가하고 꺼려야 할 것[傷寒戒忌]

 ○ 상한병이 갓 나은 뒤에 다만 미음을 적게 먹어 늘 배고픈 감이 있게 하고 배부르게 먹지 말아야 하는데 이와 반대로 하면 병이 도진다. ○ 일찍이 일어나지 말고 머리를 빗거나 세수를 하지 말며 말을 많이 하지 말고 정신을 피로케 하거나 기력을 소모시키지 말아야 한다. 이와 반대로 하면 병이 도진다. ○ 병이 나은 뒤에 1백일 안으로 몸이 회복되지 않았는데 성생활을 하면 죽을 수 있다. ○ 양고기, 닭고기, 개고기, 살찐 물고기, 기름, 여러 가지 뼈를 고아서 끓인 국, 소금을 두고 절인 식혜와 기름떡, 국수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것들을 먹으면 병이 곧 도질 수 있다[국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655
[한(寒)] 상한에 예후가 나쁜 증[傷寒凶證] 389
[한(寒)] 상한에 치료할 수 없는 증[傷寒不治證] 393
[한(寒)] 상한에 대한 10가지 권고[傷寒十勸] 476
[한(寒)] 상한에 삼가하고 꺼려야 할 것[傷寒戒忌] 401
[한(寒)] 중한증(中寒證) 573
[한(寒)] 한궐로 갑자기 까무러친 것[寒厥暴亡] 478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한(寒)] 외감에 내상을 겸한 증[外感挾內傷證] 980
[한(寒)] 외감으로 속이 상하여 허증이 된 데는 보해야 한다[外感內傷虛證宜補] 433
[한(寒)] 임신부의 상한[孕婦傷寒] 584
[한(寒)] 고랭(痼冷) 699
[한(寒)] 상한에 5가지가 있다[傷寒有五種] 419
[한(寒)] 상한의 16가지 이름[傷寒十六名] 419
[한(寒)] 상한과 비슷한 4가지증[傷寒相類四證] 357
[한(寒)] 상한부(傷寒賦) 776
[한(寒)] 단방(單方)/한(寒) 489
[한(寒)] 침뜸치료[鍼炙法]/한(寒) 608
[서(暑)] 서란 상화가 작용하는 것이다[暑者相火行令也] 598
[서(暑)] 상한(傷寒)이 전변하여 온병이나 서병이 된다[傷寒傳變爲溫爲暑] 684
[서(暑)] 맥 보는 법[脈法] 542
[서(暑)] 서병(暑病)의 형태와 증상[暑病形證] 683
[서(暑)] 중서 때의 구급치료[中暑救急] 794
[서(暑)] 중갈과 중열의 감별[中?中熱之辨] 1040
[서(暑)] 무더운 여름에는 기(氣)를 보해야 한다[夏暑宜補氣] 1172
[서(暑)] 서병에는 모서(冒暑),중서(中暑), 상서(傷暑)의 3가지 증이 있다[暑有冒暑中暑傷暑三證] 1333
[서(暑)] 서풍(暑風) 936
[서(暑)] 서열로 번갈이 나는 것[暑熱煩渴] 1142
[서(暑)] 서병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暑病吐瀉] 987
[서(暑)] 복서증(伏暑證) 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