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暑)

서란 상화가 작용하는 것이다[暑者相火行令也]

한닥터 2011.09.16 조회 수 598 추천 수 0
◎ 暑者相火行令也 ○ 夏至日後病熱爲暑暑者相火行令也夏月人感之--自口齒而入--傷心包絡之經其爲證煩則喘喝靜則多言身熱而煩心大渴引飮頭疼自汗倦怠少氣或下血發黃生?甚者火熱制金不能平木??不省人事矣[節齋]

☞ 서란 상화가 작용하는 것이다[暑者相火行令也]

 ○ 하지(夏至) 후에 열병을 앓는 것은 서병(暑病)이다. 서(暑)란 상화(相火)가 작용하는 것이다. 여름에 더위를 먹으면 --번역생략--심포락(心包絡)의 경맥을 상한다. 그 증상으로는 답답증[煩]이 나며 숨이 차고 목쉰 소리를 하며 답답증이 멎으면 말이 많으며 몸에서 열이 나고 가슴 속이 답답하며[心煩] 갈증이 몹시 나서 물을 켜고 머리가 아프며 저절로 땀이 나고 몸이 나른해하면서 기운이 없고 혹 하혈하며 황달이 생기고 반진이 돋는다. 심하면 화열(火熱)이 폐금(肺金)을 너무 억제해서 폐금이 간목(肝木)을 고르게 하지 못하므로 경련이 일면서 정신을 잃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절제].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655
[한(寒)] 상한에 예후가 나쁜 증[傷寒凶證] 389
[한(寒)] 상한에 치료할 수 없는 증[傷寒不治證] 393
[한(寒)] 상한에 대한 10가지 권고[傷寒十勸] 476
[한(寒)] 상한에 삼가하고 꺼려야 할 것[傷寒戒忌] 401
[한(寒)] 중한증(中寒證) 573
[한(寒)] 한궐로 갑자기 까무러친 것[寒厥暴亡] 478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한(寒)] 외감에 내상을 겸한 증[外感挾內傷證] 980
[한(寒)] 외감으로 속이 상하여 허증이 된 데는 보해야 한다[外感內傷虛證宜補] 433
[한(寒)] 임신부의 상한[孕婦傷寒] 584
[한(寒)] 고랭(痼冷) 699
[한(寒)] 상한에 5가지가 있다[傷寒有五種] 419
[한(寒)] 상한의 16가지 이름[傷寒十六名] 419
[한(寒)] 상한과 비슷한 4가지증[傷寒相類四證] 357
[한(寒)] 상한부(傷寒賦) 776
[한(寒)] 단방(單方)/한(寒) 489
[한(寒)] 침뜸치료[鍼炙法]/한(寒) 608
[서(暑)] 서란 상화가 작용하는 것이다[暑者相火行令也] 598
[서(暑)] 상한(傷寒)이 전변하여 온병이나 서병이 된다[傷寒傳變爲溫爲暑] 684
[서(暑)] 맥 보는 법[脈法] 542
[서(暑)] 서병(暑病)의 형태와 증상[暑病形證] 684
[서(暑)] 중서 때의 구급치료[中暑救急] 794
[서(暑)] 중갈과 중열의 감별[中?中熱之辨] 1040
[서(暑)] 무더운 여름에는 기(氣)를 보해야 한다[夏暑宜補氣] 1173
[서(暑)] 서병에는 모서(冒暑),중서(中暑), 상서(傷暑)의 3가지 증이 있다[暑有冒暑中暑傷暑三證] 1334
[서(暑)] 서풍(暑風) 936
[서(暑)] 서열로 번갈이 나는 것[暑熱煩渴] 1142
[서(暑)] 서병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暑病吐瀉] 987
[서(暑)] 복서증(伏暑證) 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