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暑)

서병(暑病)의 형태와 증상[暑病形證]

한닥터 2011.09.16 조회 수 684 추천 수 0
◎ 暑病形證 ○ 暑病身熱自汗口乾面垢而已[入門] ○ 傷暑之證面垢自汗身熱背寒煩悶大渴倦怠少氣毛聳惡寒或頭疼或?亂或四肢厥冷但身體無痛[直指] ○ 中暑之證六脈沈伏冷汗自出悶絶而昏不知人矣[直指] ○ 太陽中?者暑病也發熱惡寒身重頭痛其脈弦細?遲小便已灑灑然毛聳手足逆冷少有勞身卽熱口開前板齒燥若發汗則惡寒甚加溫鍼則發熱甚數下之則淋甚[仲景] ○ 何故灑然毛聳盖熱則諸毛孔開故?然惡寒口開前板齒燥者齒乃骨之精今燥者骨熱也鍼藥不能治當炙大??穴[雲岐]

☞ 서병(暑病)의 형태와 증상[暑病形證]

 ○ 서병은 몸에서 열이 나고 저절로 땀이 나며 입이 마르고 얼굴에 때가 낀 것 같다[입문]. ○ 더위에 상한 증상[傷暑證]은 얼굴에 때가 끼고 저절로 땀이 나며 몸에서 열이 나고 잔등이 시리며 안타깝게 답답하고[煩悶] 몹시 갈증이 나며 몸이 나른하면서 기운이 없고 솜털이 일어서면서 오한(惡寒)이 나고 혹 머리가 아프거나 곽란(?亂)이 있거나 팔다리가 싸늘하며[四肢厥冷] 다만 몸이 아프지 않다[직지]. ○ 중서(中暑)의 증상은 6맥이 침복(沈伏)하며 찬 땀이 저절로 나고 숨이 끊어지는 것 같으며[悶絶] 정신이 혼미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직지]. ○ 태양중갈(太陽中?)은 서병인데 열이 나고 오한이 있으며 몸이 무겁고 머리가 아프며 맥은 현(弦), 세(細), 규(?), 지(遲)하고 오줌을 누고 나면 오싹오싹하면서 솜털이 일어서며 손발이 싸늘하고 조금 피로하면 곧 열이 나서 입을 벌리고 있어 앞니가 마른다. 만일 땀을 내면 오한이 더 심해지고 온침(溫鍼)을 놓으면 열이 더 심하게 나고 자주 설사시키면 임병(淋病)이 심해진다[중경]. ○ 왜 오싹오싹하면서 솜털이 일어서는가. 대체로 열이 나면 털구멍들이 열리므로 자연히 오한이 나며 입을 벌리고 있어 앞니가 마르게 되는데 이는 뼈의 정기(精氣)이므로 이가 마르는 것은 뼈에 열이 있는 것이다. 이때는 침(鍼)과 약으로는 치료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대추혈(大??穴)에 뜸을 떠야 한다[운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충(蟲)] 치통에 충이 있다[齒痛有蟲] 567
[눈(眼)] 천곽(天廓) 567
[목구멍(咽喉)] 침뜸치료[鍼灸法]/인후 567
[젖(乳)] 유현증(乳懸證) 567
[심병(審病)] 잡병 때 죽을 것을 미리 알 수 있는 증상[雜病占死候] 567
[온역(瘟疫)] 방예하는 법[禳法] 567
[괴질(怪疾)] 눈앞에 5가지 빛이 나는 물건이 보이는 것[眼見五色物] 567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
[인부(人部)] 치은(齒?, 이똥) 567
[입과 혀(口舌)] 단방(單方)/입과 혀 568
[근(筋)] 족태양(足太陽)의 경근[足太陽之筋] 568
[발(足)] 각기병 때 꺼려야 할 것[脚氣禁忌法] 568
[풍(風)] 풍비는 위증과 비슷하다[風痺與?相類] 568
[한(寒)] 양명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陽明外證] 568
[물(水部)]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568
[담음(痰飮)] 담병으로는 갑자기 죽지 않는다[痰病不卒死] 569
[천지운기(天地運氣)] 천기가 도는 것[天氣流行] 569
[용약(用藥)] 처방을 요약하는 것은 주머니를 졸라매듯이 해야 한다[約方猶約囊] 569
[풍(風)]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 3 569
[제창(諸瘡)] 번화창(飜花瘡) 569
[귀(耳)] 치료하지 못하는 증[不治證]/귀 570
[내상(內傷)] 음식으로 내상이 된 데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吐] 570
[창만(脹滿)] 창만은 진장병이다[脹滿乃眞臟病也] 570
[제창(諸瘡)]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外治法] 570
[소아(小兒)] 이를 가는 것[咬牙] 570
[침구(針灸)]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571
[충(蟲)] 노채의 병증[勞?病證] 571
[맥(脈)] 맥은 혈과 기보다 앞선다[脈者血氣之先] 571
[전음(前陰)] 기산(氣疝) 571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의 기가 부족한 방위[天地不足之方]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