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暑)

여름철 더위를 먹지 않게 조섭하는 법[夏暑將理法]

한닥터 2011.09.16 조회 수 655 추천 수 0
◎ 夏暑將理法 ○ 衛生歌曰四時惟夏難將攝伏陰在內腹冷滑補腎湯藥不可無食飮稍冷休哺?心旺腎衰何所禁特忌?泄通精氣寢處惟宜謹密間?靜志慮和心意氷漿菜茹不宜人必到秋來成?痢 ○ 凡盛暑衝熱切不可以冷水洗手面大損人目[活人] ○ 夏一季是人脫精神之時心旺腎衰腎化爲水至秋始凝及冬乃堅是故尤愼房室固養精氣[活人] ○ 三伏之時大熱傷氣養生家於此時尤愼之若縱酒恣色則令人內腎腐爛而死[入門] ○ 人之心包絡與胃口相應胃氣稍虛或因飢冒暑則暑毒自口鼻而入凝之於牙頰達之於心包如響應聲遇暑以還急漱口而勿嚥可也[直指] ○ 虛人及老人中暑迷厥不省宜竹葉石膏湯(方見寒門)加附子冷服之[回春] ○ 太倉公?瘟丹暑濕之月燒之能?邪散氣(方見瘟疫)[回春]

☞ 여름철 더위를 먹지 않게 조섭하는 법[夏暑將理法]

 ○ 위생가(衛生歌)에는 다음과 같이 썼다. ○ 사철 중에 여름철이 조섭하기 힘들도다 ○ 묵은 추위 속에 있어 설사하기 아주 쉽네 ○ 신장 기운 보할 약은 없어서는 아니되고 ○ 싸늘하게 식은 음식 입에 대지 말 것일세 ○ 심장 기운 왕성하고 신장 기운 쇠약하여 ○ 진액정액 아끼는 게 첫째 가는 조섭일세 ○ 문을 닫고 누워 자며 정신 너무 쓰지 말라 ○ 얼음물과 찬 과실도 지나치면 해롭다네 ○ 가을철에 들어서서 학질이질 앓기 쉽네 ○ 대개 몹시 더울 때에 열이 나도 찬물로 손과 얼굴을 씻지 말아야 한다. 이는 눈에 매우 나쁘다[활인]. ○ 여름 한철은 사람의 정신을 손상하는 시기이다. 심(心)은 왕성하고 신수(腎水)는 쇠약하며 정이 물처럼 되었다가 가을에 가서 엉기기 시작하고[凝] 겨울에 가서 굳어지게[堅] 된다. 그러므로 성생활을 더욱 적게 하고 정기(精氣)를 굳건히 보양해야 한다[활인]. ○ 삼복더위에는 내리쬐는 더위가 기를 상하기 때문에 양생(養生)하는 사람들은 이런 때에 더욱 주의해야 할 것이다. 만일 지나치게 술을 마시거나 성생활을 하면 신[內腎]이 상하여[腐爛] 죽을 수 있다[입문]. ○ 사람의 심포락(心包絡)은 위의 윗구멍[胃口]과 서로 연락되어 있기 때문에 위기(胃氣)가 좀 허하거나 배고픈 때에 더위먹으면 더위독[暑毒]이 입과 코로 들어가서 이와 볼[牙頰]에 몰렸다가 심포락에 이르는 것이 틀림없다. 더운 곳에 나갔다가 들어와서는 빨리 찬물로 양치하되 삼키지는 말아야 한다[직지]. ○ 허약한 사람과 늙은이가 더위먹고[中暑] 넘어져 정신을 잃은 데는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부자(附子)를 더 넣어 달여서 식혀 먹는 것이 좋다[회춘]. ○ 태창공(太倉公)의 벽온단(?瘟丹, 처방은 온역문에 있다)을 덥고 습한 달[月]에 태우면 사기(邪氣)를 흩어버린다고 했다[회춘].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화(火)] 비열(脾熱) 1384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풀(草部)]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744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2
[풀(草部)]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풀(草部)] 인삼(人蔘) 1151
[풀(草部)] 천문동(天門冬) 588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
[풀(草部)]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710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풀(草部)]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768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79
[풀(草部)] 시호(柴胡) 587
[풀(草部)] 맥문동(麥門冬) 846
[풀(草部)] 독활(獨活, 따두릅) 1221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풀(草部)] 승마(升麻) 629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목향(木香) 504
[풀(草部)] 서여(薯?, 마) 507
[풀(草部)] 택사(澤瀉) 486
[풀(草部)] 원지(遠志) 629
[풀(草部)] 용담(龍膽) 537
[풀(草部)] 세신(細辛) 539
[풀(草部)] 석곡(石斛) 52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적전(赤箭)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