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燥)

조는 피가 적기 때문에 생긴다[燥因血少]

한닥터 2011.09.16 조회 수 757 추천 수 0
◎ 燥因血少 ○ 內經曰諸澁枯?乾勁?揭皆屬於燥 ○ 火熱勝則金衰而風生緣風能勝濕熱能耗液而爲燥陽實陰虛則風熱勝于水濕而爲燥也盖肝主筋而風氣自甚又燥熱加之則筋大燥也燥金主於收斂其脈緊澁故爲病勁强緊急而口?也夫燥之爲病血液衰少不能榮養百骸故也[正傳]

☞ 조는 피가 적기 때문에 생긴다[燥因血少]

 ○ 『내경』에는 "여러 가지로 피부가 깔깔하고 마르며 뻣뻣하고 쭈글쭈글하며 터져서 가려운 것들은 다 조(燥)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 화열(火熱)이 지나치면 금(金)이 쇠약해지면서 풍(風)이 생긴다. 이렇게 되면 풍이 습을 억제하고 열이 진액을 소모하여 조가 된다. 양이 실하고 음이 허하면 풍열이 수습(水濕)보다 성하여 조(燥)가 된다. 대개 간은 힘줄을 주관하는데 풍기가 심한 데다 또 조열이 더 많아지면 힘줄이 몹시 조하여진다. 폐금은 수렴하는 것을 주관하는데 그 맥이 긴삽(緊澁)하므로 뻣뻣하고 땅기어 이를 악무는 병이 된다. 조병은 혈액이 적어져서 모든 뼈들을 영양(榮養)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서(暑)] 주하병(注夏病) 1050
[서(暑)] 여름철 더위를 먹지 않게 조섭하는 법[夏暑將理法] 655
[서(暑)] 서열에 두루 쓰는 약[暑熱通治藥] 792
[서(暑)] 단방(單方) 543
[습(濕)] 습은 물 기운이다[濕乃水氣] 763
[습(濕)] 안개와 이슬 기운이 장기가 된다[霧露之氣爲?] 1036
[습(濕)] 맥 보는 법[脈法] 634
[습(濕)] 습기가 몸에 침습하여도 잘 깨닫지 못한다[濕氣侵人不覺] 833
[습(濕)]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1021
[습(濕)] 화와 열은 습을 생기게 한다[火熱生濕] 1170
[습(濕)] 습병은 상한과 비슷하다[濕病類傷寒] 663
[습(濕)] 습병에 7가지가 있다[濕病有七] 655
[습(濕)] 중습(中濕) 1145
[습(濕)] 풍습(風濕) 1278
[습(濕)] 한습(寒濕) 2012
[습(濕)] 습비(濕痺) 1015
[습(濕)] 습열(濕熱) 2053
[습(濕)] 습온(濕溫) 1040
[습(濕)] 주습(酒濕) 917
[습(濕)] 파상습(破傷濕) 629
[습(濕)] 습병은 흔히 몸이 아프고 서병은 몸이 아프지 않다[濕多身痛暑無身痛] 629
[습(濕)] 습에는 내습과 외습이 있다[濕有內外之殊] 770
[습(濕)]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1806
[습(濕)] 습병에는 땀을 내고 설사시키는 것과 뜸뜨는 것을 금한다[濕病禁汗下及炙] 700
[습(濕)] 습병에 땀을 몹시 내면 치병이 된다[濕病大汗則成?] 868
[습(濕)] 단방(單方) 724
[습(濕)] 침치료[鍼法] 615
[조(燥)] 조는 피가 적기 때문에 생긴다[燥因血少] 757
[조(燥)] 맥 보는 법[脈法] 537
[조(燥)] 조병은 폐금의 병이다[燥者肺金之病] 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