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火)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한닥터 2011.09.19 조회 수 1448 추천 수 0
◎ 火有君相之二 ○ 五行各一其性惟火有二曰君火人火也曰相火天火也火內陰而外陽主乎動者也以名而言形質相生配於五行故謂之君以位而言生於虛無守位稟命因其動而可見故謂之相天主生物故恒於動人有此生亦恒於動其所以恒於動者皆相火之所爲也[東垣] ○ 君火者乃眞心小腸之氣所爲也相火者乃心包絡三焦之氣所爲也[丹心]

☞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 5행(五行)에는 각각 한가지의 성질이 있는데 오직 화(火)만 2가지가 있다. 하나는 군화(君火) 즉 인화(人火)이고 다른 하나는 상화(相火) 즉 천화(天火)이다. 화는 속은 음(陰)이고 겉은 양(陽)이어서 움직이는 것을 주관한다. 이름을 가지고 말하면 형체와 실질이 상생(相生)하여 5행에 배열되는 것을 군화(君火)라 하고 지위를 가지고 말하면 허무에서 생겨 제자리를 지키며 생명을 주관하고 그 작용을 보고 알 수 있기 때문에 상화라고 한다. 천지는 만물을 주로 생기게 하므로 늘 움직이고 있으며 사람도 살면서 늘 움직이고 있는데 그것은 다 상화가 하는 것이다[동원]. ○ 군화는 심(心)과 소장(小腸)의 기운이 되는 것이고 상화는 심포락(心包絡) 3초(三焦)의 기운이 되는 것이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전음(前陰)] 음정(陰挺)과 음탈(陰脫) 1419
[얼굴(面)] 탑시종(搭?腫) 1421
[한(寒)]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1421
[신형(身形)] 노인의 병을 치료하는 법[老人治病] 1422
[눈(眼)] 투침(偸鍼) 1 1424
[혈(血)] 코피[?血] 1428
[담음(痰飮)] 습담(濕痰) 1428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을 치료하는 법[膀胱病治法] 1428
[머리(頭)] 담훈(痰暈) 1431
[신형(身形)] 사람의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1433
[목소리(聲音)] 잡병으로 목이 쉰 것[因雜病失音] 1433
[내상(內傷)] 탄산과 토산[呑酸吐酸] 1434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신형(身形)] 도[道]로 병을 치료한다[以道療病] 1436
[허리(腰)] 풍으로 허리가 아픈 것[風腰痛] 1437
[벌레(蟲部)] 반묘(斑猫) 1439
[신형(身形)] 선현들의 격언[先賢格言] 1440
[기침(咳嗽)] 오랜 기침[久嗽] 1441
[제창(諸瘡)] 결핵(結核, 멍울) 1441
[허로(虛勞)] 간이 허한 데 쓰는 약[肝虛藥] 1442
[비장(脾臟)] 비병의 증상[脾病證] 1443
[머리털(毛髮)]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1445
[부인(婦人)] 유산[半産] 1445
[담음(痰飮)] 유음(留飮) 1447
[머리(頭)] 풍한두통(風寒頭痛) 1447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1 1448
[오줌(小便)] 노림(勞淋) 1448
[한(寒)] 상한표증(傷寒表證) 1448
[화(火)]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1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