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火)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한닥터 2011.09.19 조회 수 1449 추천 수 0
◎ 火有君相之二 ○ 五行各一其性惟火有二曰君火人火也曰相火天火也火內陰而外陽主乎動者也以名而言形質相生配於五行故謂之君以位而言生於虛無守位稟命因其動而可見故謂之相天主生物故恒於動人有此生亦恒於動其所以恒於動者皆相火之所爲也[東垣] ○ 君火者乃眞心小腸之氣所爲也相火者乃心包絡三焦之氣所爲也[丹心]

☞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 5행(五行)에는 각각 한가지의 성질이 있는데 오직 화(火)만 2가지가 있다. 하나는 군화(君火) 즉 인화(人火)이고 다른 하나는 상화(相火) 즉 천화(天火)이다. 화는 속은 음(陰)이고 겉은 양(陽)이어서 움직이는 것을 주관한다. 이름을 가지고 말하면 형체와 실질이 상생(相生)하여 5행에 배열되는 것을 군화(君火)라 하고 지위를 가지고 말하면 허무에서 생겨 제자리를 지키며 생명을 주관하고 그 작용을 보고 알 수 있기 때문에 상화라고 한다. 천지는 만물을 주로 생기게 하므로 늘 움직이고 있으며 사람도 살면서 늘 움직이고 있는데 그것은 다 상화가 하는 것이다[동원]. ○ 군화는 심(心)과 소장(小腸)의 기운이 되는 것이고 상화는 심포락(心包絡) 3초(三焦)의 기운이 되는 것이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삭조(??) 접골목(接骨木) 88
[금속[金部]] 연(鉛, 납) 연상(鉛霜) 연분(鉛粉) 연회(鉛灰) 88
[풀(草部)] 봉아술(蓬莪? , 봉출) 90
[금속[金部]] 영사(靈砂) 90
[채소(菜部)] 월과(越瓜) 92
[풀(草部)] 양제근(羊蹄根, 소리쟁이 뿌리) 양제실(羊蹄實, 소리쟁이씨) 양제엽(羊蹄葉, 소리쟁이잎) 92
[나무[木部]]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92
[나무[木部]] 몰약(沒藥) 92
[채소(菜部)] 소산(小蒜, 달래) 93
[채소(菜部)] 과체(瓜蒂 , 참외꼭지) 94
[돌[石部]] 자석영(紫石英) 94
[풀(草部)] 여로(藜蘆, 박새뿌리) 95
[풀(草部)] 청대(靑黛) 96
[채소(菜部)] 개자(芥子, 겨자씨) 96
[채소(菜部)] 괴이(槐耳, 홰나무버섯) 96
[풀(草部)] 호황련(胡黃連) 96
[채소(菜部)] 야첨과(野甛瓜, 들참외) 97
[채소(菜部)] 과자(瓜子, 참외씨) 99
[나무[木部]] 두충(杜仲) 99
[나무[木部]] 상실(橡實, 도토리) 상각(橡殼, 도토리껍질) 99
[풀(草部)] 사군자(使君子) 100
[나무[木部]] 정향(丁香) 100
[나무[木部]] 호동루(胡桐淚) 102
[나무[木部]] 오배자(五倍子, 붉나무열매집) 102
[풀(草部)] 옥유(屋遊) 103
[풀(草部)] 초두구(草豆寇) 103
[채소(菜部)] 백거(白?) 104
[풀(草部)] 반하(半夏, 끼무릇) 104
[나무[木部]] 금앵자(金櫻子) 104
[풀(草部)] 쇄양(鎖陽)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