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火)

맥 보는 법[脈法]

한닥터 2011.09.19 조회 수 615 추천 수 0
◎ 脈法 ○ 火脈洪數虛則浮[脈訣] ○ 脈實數者有實熱[丹心] ○ 脈浮而洪數爲虛火 ○ 脈沈而實大爲實火 ○ 洪數見於左寸爲心火 ○ 見於右寸爲肺火 ○ 見於左關爲肝火 ○ 見於右關爲脾火 ○ 見於兩尺爲腎經命門之火 ○ 男子兩尺洪大者必遺精陰火盛也[正傳] ○ 骨蒸勞熱脈數而虛熱而澁小必損其軀加汗加咳非藥可治[脈訣] ○ 虛火浮數實火沈大隨其所見細數爲害[回春]

☞ 맥 보는 법[脈法]

 ○ 화(火)의 맥은 홍삭(洪數)인데 허증(虛證)이면 부(浮)하다[맥경]. ○ 맥이 실삭(實數)하면 실열(實熱)이 있다[단심]. ○ 맥이 부하면서 홍삭하면 허화(虛火)이다. ○ 맥이 침(沈)하면서 실대(實大)하면 실화(實火)이다. ○ 홍삭한 맥이 왼쪽 촌구에서 나타나면 심화(心火)이다. ○ 오른쪽 촌구에서 나타나면 폐화(肺火)이다. ○ 왼쪽 관부에서 나타나면 간화(肝火)이다. ○ 오른쪽 관부에서 나타나면 비화(脾火)이다. ○ 양쪽 척부에서 나타나면 신경명문지화(腎經命門之火)이다. ○ 남자의 양쪽 척맥이 홍대하면 반드시 유정(遺精)이 있는데 이것은 음화(陰火)가 왕성하기 때문이다[정전]. ○ 골증노열(骨蒸勞熱)에는 맥이 삭하면서 허하고 열이 있으면서 맥이 삽소(澁小)하면 반드시 몸이 상한다. 여기에 땀이 나거나 기침까지 하면 약으로는 치료하기 어렵다[맥결]. ○ 허화가 있으면 맥이 부삭(浮數)하고 실화가 있으면 맥이 침대(沈大)한데 어느때든지 세삭(細數)하면 좋지 않다[회춘].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자광(紫?) 8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관중(貫衆) 13
[돌[石部]] 증청(曾靑) 13
[돌[石部]] 석담(石膽) 14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여여(?茹) 15
[나무[木部]] 종려피(棕櫚皮) 15
[풀(草部)] 속수자(續隨子) 16
[풀(草部)] 목적(木賊, 속새) 16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나무[木部]] 조등(釣藤, 조구등) 18
[나무[木部]] 원화(?花) 19
[풀(草部)] 마편초(馬鞭草) 20
[돌[石部]] 자황(紫黃) 20
[풀(草部)] 대황(大黃) 21
[나무[木部]] 목별자(木鼈子) 21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하고초(夏枯草, 꿀풀) 22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나무[木部]] 무환자피(無患子皮) 23
[돌[石部]] 염정(鹽精) 23
[나무[木部]] 백랍(白蠟) 24
[돌[石部]] 홍반(紅礬) 24
[돌[石部]] 방해석(方解石, 차돌) 24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