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상(內傷)

내상 때 조리하는 법[內傷將理法]

한닥터 2011.09.21 조회 수 559 추천 수 0
◎ 內傷將理法 ○ 服藥後若喜食一二日不可飽食恐胃再傷須少進美食助其藥力益升浮之氣而滋其胃氣愼不可淡食以損藥力而助邪氣之降沈也可以少役形體使胃氣得轉運升發愼勿大勞役使氣復傷若脾胃得安靜尤佳若胃氣稍强少食果以助穀藥之力經曰五穀爲養五果爲助是也[東垣] ○ 帝曰胃惡熱而喜淸冷大腸惡淸冷而喜熱兩者不和何以調之岐伯曰調此者飮食衣服亦欲適寒溫寒無凄?暑無出汗飮食熱無灼灼寒無??寒溫中適故氣將持乃不致邪僻也[靈樞] ○ 五味淡薄令人神爽氣淸[養性書] ○ 飮食欲相接而溫和宜食多而肉少 ○ 一切肉惟須煮爛停冷食之食畢當漱口數過勿食生肉傷胃[得效] ○ 茶之爲物四時皆不可多喫令人下焦虛冷惟飽食後煖飮一兩盞不妨盖能消食故也 ○ 茹性至冷菜苽雖治氣又能暗人耳目此等物四時皆不可多食老人尤宜忌之 ○ 脾好音樂夜食多則脾不磨周禮曰藥以侑食盖脾好音聲絲竹耳?聞脾卽磨矣[活人心] ○ 每食訖以手摩面及腹數百遍又行步躊躇計使中數里來則食易消令人能飮食無百病 ○ 飽食卽臥或不消成積聚 ○ 又夜勿過醉飽[得效] ○ 行住坐臥各得其宜不可至疲倦[東垣]

☞ 내상 때 조리하는 법[內傷將理法]

 ○ 약을 먹은 뒤에 음식이 잘 먹히면 1-2일 동안은 너무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위(胃)를 다시 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드시 맛있는 음식을 조금씩 먹어서 그 약 기운을 돕고 떠오르는 기를 보하여 그 위기(胃氣)를 보양하고 또 담박한 음식을 먹어서 약 힘을 약화시켜 완고해지는 사기를 조장시키지 말아야 한다. 이때 조금씩 노동을 하여 위기가 잘 돌아 올라 퍼지게 할 것이며 힘든 일을 지나치게 하여 다시 기를 상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 만일 비위(脾胃)가 안정되면 더욱 좋다. 만일 위기가 좀더 든든해지면 과일을 조금씩 먹어서 음식과 약 힘을 도와주어야 한다. 『내경』에 "5곡으로 영양하고 5가지 과일로써 도와준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동원]. ○ 황제가 묻기를 "위(胃)는 뜨거운 것을 싫어하고 시원한 것을 좋아하며 대장(大腸)은 시원한 것을 싫어하고 뜨거운 것을 좋아한다고 하는데 이 2가지가 조화되지 못한 때에는 어떻게 조화시켜야 하는가" 기백(岐伯)이 대답하기를 "그 2가지를 조화시키려면 의복과 음식을 차고 더운 것에 맞게 입거나 먹어야 한다. 즉 차게 하되 몸이 차게 입지 말고 덥게 하되 땀나게 입지 말며 음식을 뜨겁게 하되 혀를 댈 수 없게는 하지 말고 차게 하되 이가 시리지 않게 해야 한다. 차고 더운 것이 적당하면 기가 고르게 되어 병이 나지 않는다[영추]. ○ 담박(淡薄)한 음식을 먹으면 정신이 상쾌해지고 기가 맑아진다[양성서]. ○ 음식은 입에 맞는 것으로 따뜻하게 해서 먹을 것이며 밥을 많이 먹고 고기는 적게 먹을 것이다. ○ 일체 고기는 푹 삶아서 식혀 먹을 것이며 그것을 먹은 뒤에 양치해야 한다. 그리고 생고기를 많이 먹어서 위를 상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득효]. ○ 차(茶)는 어느 때나 너무 마시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하초(下焦)를 허하게 하고 차게 하기 때문이다. 다만 배불리 먹은 뒤에 더운 것을 1-2잔 마시는 것이 좋다. 그것은 음식을 소화시키기 때문이다. ○ 생절이는 성질이 차므로 채소와 오이는 비록 기(氣)를 치료하지만 사람의 귀와 눈을 어두워지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들은 어느 때나 많이 먹지 말 것이며 늙은이들은 더욱 삼가해야 한다. ○ 비(脾)는 음악을 좋아하며 밤에 음식을 많이 먹으면 비가 음식을 잘 소화시키지 못한다. 『주례』에 "음악을 들으면서 음식을 권하라"고 하였는데 대체로 비는 음악을 좋아하므로 그것을 들으면 비가 곧 소화를 시킨다[활인심]. ○ 매번 음식을 먹은 뒤에 손으로 얼굴과 배를 수백 번 문지르고 몇 리 걸을 만한 시간을 제자리에서 걸으면 음식이 쉽게 소화되고 음식을 잘 먹으며 온갖 병이 없어진다. ○ 배불리 먹고 곧 누우면 혹 소화되지 않고 적취(積聚)가 된다. ○ 또 밤에 술을 많이 마시거나 배부르게 먹지 말아야 한다[득효]. ○ 걷거나 서 있거나 앉거나 눕는 것을 각각 알맞게 해야 하고 피로하게까지 하는 것은 좋지 못하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소양병 때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少陽證往來寒熱] 724
[한(寒)] 소양병 때의 괴증[少陽病壞證] 721
[한(寒)] 소양병 때에 옆구리가 아픈 것[少陽病脇痛] 963
[한(寒)]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1393
[한(寒)] 태음병 때 배가 아픈 것[太陰病腹痛] 721
[한(寒)] 태음병 때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太陰病腹脹滿] 458
[한(寒)] 태음병 때에 황달이 생기는 것[太陰病發黃] 949
[한(寒)]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1421
[한(寒)]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680
[한(寒)] 소음병 때에 맥이 끊어지는 것[少陰病脈絶] 718
[한(寒)]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914
[한(寒)] 소음병 때의 사역증에는 2가지가 있다[少陰四逆證有二] 665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한(寒)]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1088
[한(寒)] 궐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厥陰形證用藥] 961
[한(寒)] 궐음병 때 손발이 싸늘한 것[厥陰病手足厥冷] 987
[한(寒)] 궐음병 때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厥陰病煩滿囊縮] 944
[한(寒)] 상한양증(傷寒陽證) 1090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31
[한(寒)] 상한표증(傷寒表證) 1448
[한(寒)] 상한이증(傷寒裏證) 1111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49
[한(寒)] 상한음궐(傷寒陰厥) 816
[한(寒)] 상한양궐(傷寒陽厥) 623
[한(寒)]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452
[한(寒)] 음궐과 양궐을 갈라보는 방법[辨陰陽厥法] 486
[한(寒)] 궐에는 장궐과 회궐이 있다[厥有藏厥?厥] 456
[한(寒)] 궐과 사역은 같지 않다[厥與四逆不同] 521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한(寒)] 상한양독(傷寒陽毒) 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