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상(內傷)

식궐(食厥)

한닥터 2011.09.21 조회 수 686 추천 수 0
◎ 食厥 ○ 凡人卒然暈倒口?不能言目不識人四肢不擧等證多因飮食過度變爲異常之疾必須審問若果因飮食之後或着氣惱多用薑鹽湯多灌探吐之後服加味六君子湯卽愈[回春]

☞ 식궐(食厥)

 ○ 갑자기 어지러워 넘어지면서 이를 악물고 말을 하지 못하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등의 증상은 대개 음식을 지나치게 먹은 데로부터 이상한 병증을 일으킨 것이다. 이때는 반드시 자세히 물어보고 만일 음식을 먹은 뒤나 고민을 몹시 해서 생겼다면 생강과 소금을 넣고 끓인 물을 많이 먹여 토하게 하고 나서 가미육군자탕을 먹이면 곧 낫는다[회춘]. 

? 加味六君子湯 ○ 香附子一錢半白朮白茯?陳皮半夏各一錢人參七分木香縮砂各五分甘草三分右?作一貼入薑三棗二紫蘇葉七片同煎服[回春]
☞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 향부자 6g, 백출, 백복령, 陳皮, 반하 각각 4g, 인삼 2.8g, 목향, 사인(축사) 각각 2g, 감초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 자소엽 7잎과 함께 달여 먹는다[회춘].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소음병 때의 사역증에는 2가지가 있다[少陰四逆證有二] 665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한(寒)]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1089
[한(寒)] 궐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厥陰形證用藥] 961
[한(寒)] 궐음병 때 손발이 싸늘한 것[厥陰病手足厥冷] 987
[한(寒)] 궐음병 때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厥陰病煩滿囊縮] 944
[한(寒)] 상한양증(傷寒陽證) 1090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31
[한(寒)] 상한표증(傷寒表證) 1448
[한(寒)] 상한이증(傷寒裏證) 1111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50
[한(寒)] 상한음궐(傷寒陰厥) 816
[한(寒)] 상한양궐(傷寒陽厥) 623
[한(寒)] 음궐과 양궐이 경하고 중한 것[陰陽厥輕重] 452
[한(寒)] 음궐과 양궐을 갈라보는 방법[辨陰陽厥法] 486
[한(寒)] 궐에는 장궐과 회궐이 있다[厥有藏厥?厥] 456
[한(寒)] 궐과 사역은 같지 않다[厥與四逆不同] 521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한(寒)] 상한양독(傷寒陽毒) 1004
[한(寒)] 음성격양(陰盛隔陽) 1 645
[한(寒)] 양성거음(陽盛拒陰) 615
[한(寒)] 음극사양(陰極似陽) 862
[한(寒)] 양극사음(陽極似陰) 903
[한(寒)] 상한잡증(傷寒雜證) 388
[한(寒)] 상한 때에 머리가 아픈 것, 몸이 아픈 것,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것[傷寒頭痛身疼百節痛] 670
[한(寒)] 오한이 나는 것, 열을 싫어하는 것,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惡寒惡熱往來寒熱] 1092
[한(寒)] 상한 때에는 얼굴, 눈, 혀의 빛깔을 보아야 한다[傷寒看面目舌色] 972
[한(寒)] 상한의 합병[傷寒合病] 537
[한(寒)] 상한의 병병[傷寒倂病] 489
[한(寒)] 상한번조(傷寒煩躁) 1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