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로(虛勞)

허로증(虛勞證)

한닥터 2011.09.22 조회 수 1089 추천 수 0
◎ 虛勞證 ○ 虛者皮毛肌肉筋脈骨髓氣血津液不足是也[綱目] ○ 凡飮食減少精神昏短遺精夢泄腰背胸脇筋骨引痛潮熱自汗痰盛咳嗽是虛勞常證也[入門] ○ 皮虛則熱脈虛則驚肉虛則重筋虛則急骨虛則痛髓虛則墮腸虛則泄三陽實三陰虛汗不出三陰實三陽虛汗不止[直指] ○ 諸虛不足榮衛俱竭五勞七傷骨蒸潮熱腰背拘急百節?疼夜多盜汗心常驚?咽燥脣焦嗜臥少力肌膚瘦悴咳嗽多痰?唾血絲寒熱往來頰赤神昏專不進食服熱藥則煩躁上衝服凉藥則膈滿腹痛最難爲治[得效]

☞ 허로증(虛勞證)

 ○ 허(虛)라는 것은 피모(皮毛), 힘살[肌肉], 힘줄[筋脈], 골수(骨髓), 기혈(氣血), 진액(津液) 등이 부족해진 것을 말한다[강목]. ○ 대체로 음식 먹는 것이 줄고 정신이 어렴풋하며 유정(遺精)과 몽설(夢泄)이 있고 허리, 잔등, 가슴, 옆구리의 힘줄과 뼈들이 켕기면서 아프다. 그리고 조열이 나고 저절로 땀이 나며 가래가 성해서 기침이 나는 것은 허로증의 보통 증상이다[입문]. ○ 피부가 허하면 열이 나고 맥이 허하면 놀라기를 잘 하며 살이 허하면 몸이 무겁고 힘줄이 허하면 켕기며 뼈가 허하면 아프고 골수가 허하면 몸이 늘어지고 장(腸)이 허하면 설사를 한다. 3양(三陽)이 실하고 3음(三陰)이 허하면 땀이 나지 않으며 3음이 실하고 3양이 허하면 계속 땀이 난다[직지]. ○ 여러 가지 허하고 부족한 증으로 영위(榮衛)가 다 고갈되고 5로 7상(五勞七傷)이 되며 골증열(骨蒸熱)과 조열(潮熱)이 나며 허리와 잔등이 가드라들고 땅긴다. 그리고 온몸의 뼈마디가 시고[?] 아프며 밤에 식은 땀이 많이 나고 대단치 않는 일에도 잘 놀라며 목구멍이 마르고 입술이 타며 힘이 없어 눕기를 좋아한다. 또한 살이 몹시 여위고 기침이 나며 가래가 많고 피섞인 가래를 뱉으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뺨이 붉으며 정신이 혼미하고 전혀 음식을 먹지 못하는 데는 성질이 열한 약을 먹으면 번조(煩躁)해하고 위로 치밀며 성질이 찬약을 먹으면 가슴이 그득하고 배가 아픈 것은 치료하기 매우 어렵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양성거음(陽盛拒陰) 615
[한(寒)] 음극사양(陰極似陽) 862
[한(寒)] 양극사음(陽極似陰) 903
[한(寒)] 상한잡증(傷寒雜證) 388
[한(寒)] 상한 때에 머리가 아픈 것, 몸이 아픈 것,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것[傷寒頭痛身疼百節痛] 670
[한(寒)] 오한이 나는 것, 열을 싫어하는 것,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惡寒惡熱往來寒熱] 1092
[한(寒)] 상한 때에는 얼굴, 눈, 혀의 빛깔을 보아야 한다[傷寒看面目舌色] 972
[한(寒)] 상한의 합병[傷寒合病] 537
[한(寒)] 상한의 병병[傷寒倂病] 489
[한(寒)] 상한번조(傷寒煩躁) 1099
[한(寒)] 번조의 뒷짐작[煩躁吉凶] 361
[한(寒)] 번조증이 나다가 다리가 가드라드는 것[煩躁脚攣] 704
[한(寒)] 오농과 불울[懊??鬱] 694
[한(寒)] 상한전율(傷寒戰慄) 697
[한(寒)] 상한동계(傷寒動悸) 666
[한(寒)] 상한동기(傷寒動氣) 714
[한(寒)] 동기가 오른쪽에 있는 것[動氣在右] 413
[한(寒)] 동기가 왼쪽에 있는 것[動氣在左] 467
[한(寒)] 동기가 위에 있는 것[動氣在上] 427
[한(寒)] 동기가 아래에 있는 것[動氣在下] 693
[한(寒)] 상한 때의 번갈[傷寒煩渴] 752
[한(寒)] 상한 때의 조열[傷寒潮熱] 679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3
[한(寒)] 상한 때의 섬어와 정성[傷寒?語鄭聲] 1522
[한(寒)] 상한결흉(傷寒結胸) 771
[한(寒)] 상한 때의 장결[傷寒藏結] 673
[한(寒)]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862
[한(寒)] 상한병에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傷寒筋?肉?] 592
[한(寒)] 상한 때의 제중증[傷寒除中證] 407
[한(寒)]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