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란(?亂)

곽란 때 토하게 하는 방법[?亂吐法]

한닥터 2011.09.23 조회 수 759 추천 수 0
◎ ?亂吐法 ○ 治乾?亂心腹刺痛煩寃吐利不得氣欲絶者極鹹鹽湯熱飮一升刺口令吐不吐則再飮一升須三吐使宿食盡乃止此法大勝諸治吐訖以理中湯藿香正氣散款緩調治[得效] ○ 又法急以鹽湯一盞入童便薑汁頓服探吐令透未透再服吐後續用?法[入門]

☞ 곽란 때 토하게 하는 방법[?亂吐法]

 ○ 건곽란(乾?亂)으로 명치와 배가 찌르는 것처럼 아프고 답답하며 토하지 않고 설사도 하지 않으면서 숨이 끊어질 것 같을 때에는 몹시 짠 소금물을 뜨겁게 하여 2홉 반을 마시게 하고 목구멍을 자극하여 토하게 해야 한다. 토하지 않으면 다시 소금물 2홉 반을 마시어 두세번 토하게 하여 속에 있는 변질한 음식물이 다 나오게 해야 한다. 그러면 병이 낫는다. 이 방법은 다른 치료방법보다 매우 좋은 것이다. 토하기가 멎으면 이중탕이나 곽향정기산을 써서 잘 조리해야 한다[득효]. ○ 또 한 가지 방법은 빨리 소금물 1잔에 생강즙을 넣어 단숨에 마시는 것이다. 그 다음 토하면 숨이 통하게 되는데 통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먹어 토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이어 찜질을 해야 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에 저절로 설사가 나는 것[傷寒自利] 711
[한(寒)] 상한 때의 흉통(胸痛)과 복통(腹痛)[傷寒胸腹痛] 854
[한(寒)] 상한에 회충을 토하는 것[傷寒吐蛔] 711
[한(寒)] 음양교증(陰陽交證) 440
[한(寒)] 괴증(壞證) 826
[한(寒)] 백합증(百合證) 706
[한(寒)] 과경이 되었어도 낫지 않는 것[過經不解] 649
[한(寒)] 노복증과 식복증[勞復食復證] 1105
[한(寒)] 상한을 앓고 난 뒤에 남아 있는 증상[傷寒遺證] 378
[한(寒)] 음양역증(陰陽易證) 600
[한(寒)] 열이 혈실에 들어간 증[熱入血室證] 854
[한(寒)] 혈결흉(血結胸) 441
[한(寒)]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766
[한(寒)] 병이 나은 뒤에 정신이 흐릿한 것[差後昏沈] 489
[한(寒)]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944
[한(寒)] 호혹증(狐惑證) 718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2
[한(寒)]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1606
[한(寒)] 상한병이 나으려고 하는 것[傷寒欲解] 418
[한(寒)] 상한 때 토하게 할 수 있는 증[傷寒可吐證] 503
[한(寒)] 땀을 내야 할 증과 땀을 내서는 안될 증[可汗不可汗證] 640
[한(寒)] 땀을 내는 법[發汗法] 422
[한(寒)] 망양증(亡陽證) 562
[한(寒)]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735
[한(寒)] 땀을 억지로 내면 수명을 단축한다[促汗夭壽] 436
[한(寒)]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1096
[한(寒)] 빨리 설사시켜야 할 2가지 증[急下兩證] 378
[한(寒)] 맥이 세게 뛰지 않으면 설사시키지 못한다[脈不鼓擊不可下] 418
[한(寒)]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설사시켜야 한다[下後熱不退宜再下] 462
[한(寒)]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