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란(?亂)

치료할 수 없는 증상[不治證]

한닥터 2011.09.23 조회 수 553 추천 수 0
◎ 不治證 ○ ?亂轉筋腹痛四肢厥冷氣欲絶其脈洪大可治如脈微而囊縮舌卷者不治[綱目] ○ ?亂喘脹煩躁者不治[得效] ○ 乾?亂吐瀉不得胸腹脹硬面脣靑黑手足冷過?膝六脈伏絶氣喘急舌短囊縮者死[回春] ○ 脈微遲氣少不語爲難治[得效] ○ 大渴大躁大汗遺尿者死回生散救之(方見上)[入門]

☞ 치료할 수 없는 증상[不治證]

 ○ 곽란 때에 힘줄이 뒤틀리고 배가 아프며 팔다리가 싸늘하고 숨이 끊어지려고 하면서도 맥(脈)이 홍대(洪大)하면 치료할 수 있고 맥이 미(微)하고 음낭이 줄어들며 혀가 말려들면 치료하지 못한다[강목]. ○ 곽란 때에 숨이 차고 배가 불러 오르고 번조(煩躁)하면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 건곽란(乾?亂)으로 토하지도 설사도 하지 못하여 가슴이 벅차고 배가 불러 오르며 뜬뜬하고 얼굴과 입술이 검푸르고 손발끝에서부터 팔굽과 무릎까지 차며 6맥(六脈)이 복(伏)하면서 끊어질 듯하고 숨이 몹시 차며 혀가 말려들고 음낭이 줄어들면 죽을 수 있다[회춘]. ○ 맥이 미지(微遲)하고 기운이 없어서 말을 하지 못하면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 몹시 갈증이 나서 날치며 몹시 땀이 나고 오줌이 나가는 줄 모르면 죽을 수 있다. 이때에는 회생산(回生散, 처방은 위에 있다)으로 살려야 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학질(?疾)] 여러 가지 학질의 증후와 치료[諸?證治] 606
[학질(?疾)] 풍학(風?) 883
[학질(?疾)] 한학(寒?) 843
[학질(?疾)] 열학(熱?) 870
[학질(?疾)] 습학(濕?) 736
[학질(?疾)] 담학(痰?) 944
[학질(?疾)] 식학(食?) 1332
[학질(?疾)] 노학(勞?) 987
[학질(?疾)] 귀학(鬼?) 689
[학질(?疾)] 역학(疫?) 750
[학질(?疾)] 장학(??) 794
[학질(?疾)] 해학(??) 1654
[학질(?疾)] 학질로 오한이 났다 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병의 뿌리가 있기 때문이다[?寒熱不歇有根] 551
[학질(?疾)]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한 것[寒熱似?] 1030
[학질(?疾)]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1623
[학질(?疾)] 학질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음과 양이 갈라지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治?須用分陰陽之藥] 641
[학질(?疾)] 학질이 장차 낫겠는가를 알 수 있는 것[知?將差] 585
[학질(?疾)] 학질이 발작하지 못하도록 세게 치료하는 방법[截?法] 980
[학질(?疾)] 방예하는 법[禳法] 601
[학질(?疾)] 꺼릴 것[禁忌法] 603
[학질(?疾)]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578
[학질(?疾)] 단방(單方) 593
[학질(?疾)] 침뜸치료[鍼灸法] 485
[온역(瘟疫)] 온역의 원인[瘟疫之因] 600
[온역(瘟疫)] 온역의 형태와 증상[瘟疫形證] 613
[온역(瘟疫)] 맥 보는 법[脈法] 542
[온역(瘟疫)]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2154
[온역(瘟疫)] 대두온증(大頭瘟證) 666
[온역(瘟疫)] 대두온을 치료하는 방법[大頭瘟治法] 1351
[온역(瘟疫)] 방예하는 법[禳法]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