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咳嗽)

위가 허하여 생긴 천식[胃虛喘]

한닥터 2011.09.27 조회 수 542 추천 수 0
◎ 胃虛喘 ○ 胃虛極則氣上逆擡肩??喘而不休生脈散加杏仁陳皮白朮服[入門] ○ 胃喘則身熱而煩經云胃爲氣逆又云犯賊風虛邪者陽受之陽受之則入六府入六府則身熱不時臥上爲喘呼又云陽明厥則喘而??則惡人或喘而死者或喘而生者何也厥逆連藏則死連經則生此胃喘宜加減白虎湯之類[綱目]

☞ 위가 허하여 생긴 천식[胃虛喘]

 ○ 위가 몹시 허약하면 기가 치밀어 올라 어깨를 들먹거리며 배를 움켜쥐게끔 숨이 찬 것이 멎지 않는다. 이때에는 생맥산에 행인, 陳皮, 백출을 넣어서 써야 한다[입문]. ○ 위와 관련된 천식 때에는 몸에 열이 나면서 안타깝다. 『내경』에 "위가 허하면 기가 치밀어 오른다"고 씌어 있다. 또한 "적풍(賊風)이나 허사(虛邪)에 감촉되면 그것을 양(陽)이 받게 되는데 양이 받으면 그것이 6부(六腑)로 들어간다. 6부로 들어가면 몸에 열이 나고 갑자기 눕게 되며 숨이 차게 된다"고 씌어 있다. 또한 양명(陽明)이 궐역(厥逆)되면 숨이 차고 한숨을 쉬게 된다. 한숨을 쉬게 되면 사람을 싫어한다. 혹 숨이 차다가 죽는 것도 있고 숨이 차다가도 사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무슨 까닭인가. 그것은 궐역이 5장(五臟)에까지 미치면 죽고 경맥(經脈)에만 미치면 산다는 것이다. 이것이 위와 관련되어 생긴 천식이다. 이런 데는 가감백호탕(加減白虎湯) 같은 것을 써야 한다[강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소갈이 변한 증상[消渴傳變證]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가감백호탕(加減白虎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온역(瘟疫)]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2154
[학질(?疾)]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1623
[학질(?疾)] 열학(熱?) 870
[학질(?疾)] 6경 학질[六經?] 1150
[소갈(消渴)] 소갈이 변한 증상[消渴傳變證] 913
[기침(咳嗽)] 위가 허하여 생긴 천식[胃虛喘] 542
[기침(咳嗽)] 화천(火喘) 1174
[화(火)] 조열(潮熱) 2288
[화(火)] 열은 낮에 나는 것과 밤에 나는 것의 구별이 있다[熱有晝夜之分] 1780
[화(火)] 화와 열에도 실한 것과 허한 것이 있다[火熱有實有虛] 1846
[화(火)] 폐열(肺熱) 1250
[습(濕)] 습온(濕溫) 1040
[서(暑)] 서열로 번갈이 나는 것[暑熱煩渴] 1142
[서(暑)] 서병에는 모서(冒暑),중서(中暑), 상서(傷暑)의 3가지 증이 있다[暑有冒暑中暑傷暑三證] 1334
[서(暑)] 중갈과 중열의 감별[中?中熱之辨] 1040
[한(寒)]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944
[한(寒)] 상한 때의 번갈[傷寒煩渴] 752
[한(寒)] 상한의 합병[傷寒合病] 537
[한(寒)] 양극사음(陽極似陰) 903
[한(寒)] 상한양독(傷寒陽毒) 1004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50
[한(寒)] 양명병에 꺼릴 것[陽明病禁忌] 1007
[한(寒)] 양명증 때 땀이 나고 갈증이 나는 것[陽明證汗渴] 952
[한(寒)] 양명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陽明形證用藥] 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