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으로 목이 쉬는 것[喘嗽聲嘶]

한닥터 2011.09.27 조회 수 452 추천 수 0
◎ 喘嗽聲嘶 ○ 喘嗽聲嘶乃血虛受熱靑黛蛤粉爲末蜜丸常常?化[丹心] ○ 宜用芩連四物湯[醫鑑] ○ (詳見聲音門)

☞ 천식이나 기침으로 목이 쉬는 것[喘嗽聲嘶]

 ○ 천식이나 기침으로 목이 쉬는 것은 혈(血)이 허(虛)한데 열(熱)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런 때는 청대(靑黛)와 조가비를 가루내서 봉밀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늘 머금고 녹여 먹는다[단심]. ○ 금련사물탕도 좋다[의감]. ○ 자세한 것은 성음문(聲音門)에 있다.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195. 芩連四物湯(금련사물탕)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인부(人部)] 인뇨(人尿, 오줌) 820
[인부(人部)] 인중백(人中白) 697
[인부(人部)] 추석(秋石) 513
[인부(人部)] 부인월수(婦人月水, 월경수) 593
[인부(人部)] 인곤당(人??, 속곳 밑부분) 652
[인부(人部)] 인시(人屎, 마른똥) 681
[인부(人部)] 인중황(人中黃) 597
[인부(人部)] 인조갑(人爪甲) 518
[인부(人部)] 신생소아제(新生小兒臍) 576
[새(禽部)] 약으로 쓰는 새[禽部] 592
[새(禽部)] 단웅계육(丹雄鷄肉, 붉은 수탉의 고기) 705
[새(禽部)] 백웅계육(白雄?肉, 흰 수탉의 고기) 770
[새(禽部)] 오웅계육(烏雄鷄肉, 검은 수탉의 고기) 672
[새(禽部)] 오자계육(烏雌鷄肉) 586
[새(禽部)] 황자계육(黃雌鷄肉) 624
[새(禽部)] 계자(鷄子, 달걀) 815
[새(禽部)] 백아육(白鵝肉, 흰 거위고기) 657
[새(禽部)] 목방(鶩肪, 집오리 기름) 698
[새(禽部)] 야압육(野鴨肉, 들오리고기) 652
[새(禽部)] 안방(雁肪, 기러기기름) 777
[새(禽部)] 작육(雀肉, 참새고기) 674
[새(禽部)] 연시(燕屎, 제비똥) 호연란(胡燕卵) 호연육(胡燕肉) 월연시(越燕屎) 803
[새(禽部)] 복익(伏翼, 박쥐) 533
[새(禽部)] 응시백(鷹屎白, 매똥) 616
[새(禽部)] 치육(雉肉, 꿩고기) 625
[새(禽部)] 치두(?頭, 소리개대가리) 628
[새(禽部)] 오아(烏鴉, 까마귀) 610
[새(禽部)] 자아(慈鴉, 갈까마귀) 555
[새(禽部)] 웅작육(雄鵲肉, 수까치고기) 862
[새(禽部)] 연작(練鵲, 대까치) 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