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咳嗽)

천식과 기침을 세게 억눌러서 치료하는 약[喘嗽劫藥]

한닥터 2011.09.27 조회 수 491 추천 수 0
◎ 喘嗽劫藥 ○ 諸喘不止椒目極細末每一二錢薑湯調服止之止後因痰治痰因火治火虛弱者勿用[丹心] ○ 諸喘劫藥蘿?子蒸熟一兩?角燒灰三錢右爲末薑汁加蜜丸服[丹心] ○ 治嗽劫藥五味子五錢甘草二錢半五倍子芒硝各一錢末蜜丸?化[丹心]

☞ 천식과 기침을 세게 억눌러서 치료하는 약[喘嗽劫藥]

 ○ 모든 천식이 멎지 않는 데는 산초씨(산초)를 매우 보드랍게 가루내어 쓰는데 한번에 4-8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으면 멎는다. 멎은 뒤에 담(痰)으로 천식이 생겼을 때에는 담을 치료해야 하고 화(火)로 천식이 생겼을 때에는 화를 치료해야 한다. 허약한 데는 쓰지 말아야 한다[단심]. ○ 여러 가지 천식을 세게 억눌러 치료하는 약은 나복자(찐 것) 40g, 조협(조각, 태워 가루낸 것) 12g을 가루내서 봉밀을 탄 생강즙에 반죽하여 만든 알약이다[단심]. ○ 기침을 세게 억눌러 치료하는 약은 오미자 20g, 감초 10g, 오배자, 망초 각각 4g을 가루내서 봉밀에 반죽하여 만든 알약인데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해달(海獺, 바다수달) 672
[과실(果部)] 율자(栗子, 밤) 율피(栗皮, 밤껍질) 율모각(栗毛殼, 밤송이) 율설(栗楔, 밤의 가운데 톨) 672
[맥(脈)] 27가지 맥(脈) 673
[머리털(毛髮)] 머리털은 신에 속한다[髮屬腎] 673
[한(寒)] 상한 때의 장결[傷寒藏結] 673
[화(火)] 손으로 눌러 보아 열이 깊이 있고 얕게 있는 것을 알 수 있다[手按辨熱深淺] 673
[적취(積聚)] 육적(肉積) 673
[창만(脹滿)] 창만을 치료하는 방법[脹滿治法] 673
[온역(瘟疫)] 장역(?疫) 673
[잡방(雜方)] 몸에서 향기가 나게 하는 방법[香身法] 673
[대장부(大腸腑)] 대소장에 달린 줄[大小腸連系] 674
[머리(頭)] 취후두통 674
[새(禽部)] 작육(雀肉, 참새고기) 674
[발(足)] 각기를 달리 부르는 이름[脚氣異名] 675
[발(足)] 각기병(脚氣病)의 원인[脚氣病因] 675
[후음(後陰)] 기치(氣痔) 675
[물고기(魚部)] 석수어(石首魚, 조기) 675
[옹저(癰疽)] 둔옹(臀癰) 676
[부인(婦人)] 여자를 보는 법[相女法] 676
[소아(小兒)] 주마감(走馬疳) 676
[소아(小兒)] 풍한에 감촉된 것[感冒風寒] 676
[곡식(穀部)] 장(醬) 676
[진맥(診脈)] 병이 심할 때에는 반드시 태계맥과 충양맥을 짚어 보아야 한다[凡病革必診太谿衝陽] 677
[적취(積聚)] 여러 가지 음식에 상하면 적이 된다[諸物傷成積] 677
[제상(諸傷)] 타박을 받아 부은 것을 내리고 흠집이 생기지 않게 하는 방법[打撲傷消腫滅瘢] 677
[풍(風)] 중풍에 대한 이름이 같지 않다는 것[中風之名各不同] 678
[과실(果部)] 검인(芡仁, 가시연밥) 678
[충(蟲)] 위를 따뜻하게 해서 회충증을 안정시킨다[溫胃安蟲] 679
[한(寒)] 상한 때의 조열[傷寒潮熱] 679
[내상(內傷)] 비기가 몰려서 먹지 못하는 것[脾結不食] 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