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咳嗽)

천식과 기침을 세게 억눌러서 치료하는 약[喘嗽劫藥]

한닥터 2011.09.27 조회 수 491 추천 수 0
◎ 喘嗽劫藥 ○ 諸喘不止椒目極細末每一二錢薑湯調服止之止後因痰治痰因火治火虛弱者勿用[丹心] ○ 諸喘劫藥蘿?子蒸熟一兩?角燒灰三錢右爲末薑汁加蜜丸服[丹心] ○ 治嗽劫藥五味子五錢甘草二錢半五倍子芒硝各一錢末蜜丸?化[丹心]

☞ 천식과 기침을 세게 억눌러서 치료하는 약[喘嗽劫藥]

 ○ 모든 천식이 멎지 않는 데는 산초씨(산초)를 매우 보드랍게 가루내어 쓰는데 한번에 4-8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으면 멎는다. 멎은 뒤에 담(痰)으로 천식이 생겼을 때에는 담을 치료해야 하고 화(火)로 천식이 생겼을 때에는 화를 치료해야 한다. 허약한 데는 쓰지 말아야 한다[단심]. ○ 여러 가지 천식을 세게 억눌러 치료하는 약은 나복자(찐 것) 40g, 조협(조각, 태워 가루낸 것) 12g을 가루내서 봉밀을 탄 생강즙에 반죽하여 만든 알약이다[단심]. ○ 기침을 세게 억눌러 치료하는 약은 오미자 20g, 감초 10g, 오배자, 망초 각각 4g을 가루내서 봉밀에 반죽하여 만든 알약인데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온역(瘟疫)] 온역예방법[ 瘟疫豫防法] 782
[온역(瘟疫)] 전염되지 않게 하는 방법[不傳梁法] 682
[온역(瘟疫)] 장역(?疫) 673
[온역(瘟疫)] 온역과 열병 때 치료하지 못하는 증[瘟疫熱病不治證] 477
[온역(瘟疫)] 단방(單方) 470
[온역(瘟疫)] 침치료[鍼法] 440
[사수(邪崇)] 사수의 형태와 증상[邪?形證] 619
[사수(邪崇)] 10주, 5시[十?五尸] 501
[사수(邪崇)] 맥 보는 법[脈法] 487
[사수(邪崇)] 사수와 시주를 치료하는 약[邪?尸?治藥] 886
[사수(邪崇)] 시주병을 알아내는 방법[驗尸?法] 598
[사수(邪崇)] 방예하는 방법[禳法] 713
[사수(邪崇)] 도인법(導引法) 464
[사수(邪崇)] 단방(單方) 489
[사수(邪崇)] 침뜸치료[鍼灸法] 533
[옹저(癰疽)] 옹저의 원인[癰疽發病之原] 737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532
[옹저(癰疽)] 옹저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533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3
[옹저(癰疽)]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定癰疽死之部分] 519
[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543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