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咳嗽)

천식과 기침을 세게 억눌러서 치료하는 약[喘嗽劫藥]

한닥터 2011.09.27 조회 수 491 추천 수 0
◎ 喘嗽劫藥 ○ 諸喘不止椒目極細末每一二錢薑湯調服止之止後因痰治痰因火治火虛弱者勿用[丹心] ○ 諸喘劫藥蘿?子蒸熟一兩?角燒灰三錢右爲末薑汁加蜜丸服[丹心] ○ 治嗽劫藥五味子五錢甘草二錢半五倍子芒硝各一錢末蜜丸?化[丹心]

☞ 천식과 기침을 세게 억눌러서 치료하는 약[喘嗽劫藥]

 ○ 모든 천식이 멎지 않는 데는 산초씨(산초)를 매우 보드랍게 가루내어 쓰는데 한번에 4-8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으면 멎는다. 멎은 뒤에 담(痰)으로 천식이 생겼을 때에는 담을 치료해야 하고 화(火)로 천식이 생겼을 때에는 화를 치료해야 한다. 허약한 데는 쓰지 말아야 한다[단심]. ○ 여러 가지 천식을 세게 억눌러 치료하는 약은 나복자(찐 것) 40g, 조협(조각, 태워 가루낸 것) 12g을 가루내서 봉밀을 탄 생강즙에 반죽하여 만든 알약이다[단심]. ○ 기침을 세게 억눌러 치료하는 약은 오미자 20g, 감초 10g, 오배자, 망초 각각 4g을 가루내서 봉밀에 반죽하여 만든 알약인데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지황주(地黃酒) 496
[목구멍(咽喉)] 인후의 크기[咽喉度數] 495
[맥(脈)] 서로 반대되는 맥[相反脈] 495
[천지운기(天地運氣)] 4방이 다른 데 따라 알맞게 치료해야 한다[四方異宜] 495
[변증(辨證)] 병이 실한 것인가 허한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凡病辨有餘不足] 495
[토[吐]] 도창법의 의의[倒倉之義] 495
[하(下)] 설사를 너무 시키면 망음증이 생긴다[下多亡陰] 495
[해독(解毒)] 소주중독[燒酒毒] 495
[부인(婦人)] 해산 후의 변비[産後大便秘結] 495
[눈(眼)] 포육교응(胞肉膠凝) 494
[진맥(診脈)] 색, 촉, 결, 대, 맥은 다 도중에 멎는 맥이다[?促結代脈皆中止] 494
[제창(諸瘡)] 연절(軟癤) 494
[제상(諸傷)] 여름에 생긴 모든 헌데에 파리와 구더기가 성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夏月諸瘡傷?蠅?法] 494
[구급(救急)] 탈양증(脫陽證) 494
[살(肉)] 살이 빠져서 고치지 못하는 증[肉脫不治證] 493
[기침(咳嗽)] 단방(單方) 493
[제상(諸傷)] 뜸치료[灸法] 493
[해독(解毒)] 미치광이풀중독[??毒] 493
[잡방(雜方)] 신선태을고 493
[부인(婦人)] 쌍태와 삼태[雙胎品胎] 493
[곡식(穀部)]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493
[풀(草部)] 고량강(高良薑, 양강) 492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이 의존하는 것[天地依附] 492
[천지운기(天地運氣)] 지방에 따라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이 다르다[地理有壽夭之異] 492
[용약(用藥)] 표본을 갈라 치료하는 데 대한 노래[標本分治歌] 492
[잡방(雜方)] 비전삼선고[秘傳三仙?] 492
[곡식(穀部)]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492
[침구(針灸)] 침과 뜸치료를 같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灸不可?施] 491
[충(蟲)] 소갈에 충이 있다[消渴有蟲] 491
[천지운기(天地運氣)] 12지(十二支)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