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咳嗽)

꺼려야 할 것[禁忌法]

한닥터 2011.09.27 조회 수 370 추천 수 0
◎ 禁忌法 ○ 凡火嗽忌用人參半夏陳皮等燥藥[入門] ○ 凡氣嗽忌用?粟殼肉豆?等澁藥[入門] ○ 凡咳嗽口乾咽燥有痰者不可用南星半夏宜用瓜蔞仁貝母若飮水者又不宜瓜蔞恐泥膈不?快耳[丹心]

☞ 꺼려야 할 것[禁忌法]

 ○ 대체로 화수(火嗽) 때에는 인삼, 반하, 陳皮 등 성질이 조(燥)한 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 대체로 기(氣)로 생긴 기침에는 앵속각, 육두구 등 성질이 삽(澁)한 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 대체로 기침할 때 입이 마르고 목이 마르며 담이 있을 때에는 천남성이나 반하는 쓰지 않고 과루인와 패모를 써야 한다. 물을 마시는 데는 과루인이 좋지 않다. 그것은 과루인이 가슴을 막히게 하여 기가 잘 통하지 못하게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서(暑)] 주하병(注夏病) 1051
[서(暑)] 여름철 더위를 먹지 않게 조섭하는 법[夏暑將理法] 655
[서(暑)] 서열에 두루 쓰는 약[暑熱通治藥] 792
[서(暑)] 단방(單方) 543
[습(濕)] 습은 물 기운이다[濕乃水氣] 763
[습(濕)] 안개와 이슬 기운이 장기가 된다[霧露之氣爲?] 1036
[습(濕)] 맥 보는 법[脈法] 634
[습(濕)] 습기가 몸에 침습하여도 잘 깨닫지 못한다[濕氣侵人不覺] 833
[습(濕)]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1021
[습(濕)] 화와 열은 습을 생기게 한다[火熱生濕] 1170
[습(濕)] 습병은 상한과 비슷하다[濕病類傷寒] 663
[습(濕)] 습병에 7가지가 있다[濕病有七] 655
[습(濕)] 중습(中濕) 1146
[습(濕)] 풍습(風濕) 1279
[습(濕)] 한습(寒濕) 2013
[습(濕)] 습비(濕痺) 1015
[습(濕)] 습열(濕熱) 2054
[습(濕)] 습온(濕溫) 1040
[습(濕)] 주습(酒濕) 917
[습(濕)] 파상습(破傷濕) 629
[습(濕)] 습병은 흔히 몸이 아프고 서병은 몸이 아프지 않다[濕多身痛暑無身痛] 629
[습(濕)] 습에는 내습과 외습이 있다[濕有內外之殊] 770
[습(濕)]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1809
[습(濕)] 습병에는 땀을 내고 설사시키는 것과 뜸뜨는 것을 금한다[濕病禁汗下及炙] 700
[습(濕)] 습병에 땀을 몹시 내면 치병이 된다[濕病大汗則成?] 868
[습(濕)] 단방(單方) 724
[습(濕)] 침치료[鍼法] 615
[조(燥)] 조는 피가 적기 때문에 생긴다[燥因血少] 758
[조(燥)] 맥 보는 법[脈法] 538
[조(燥)] 조병은 폐금의 병이다[燥者肺金之病] 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