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咳嗽)

침뜸치료[鍼炙法]

한닥터 2011.09.27 조회 수 597 추천 수 0
◎ 鍼炙法 ○ 咳嗽有痰宜炙天突肺兪以泄火熱瀉肺氣[丹心] ○ 咳嗽上氣多唾冷痰炙肺兪五十壯又炙兩乳下黑白肉際各百壯 ○ 咳嗽聲破喉嘶炙天突五十壯[得效] ○ 久患喘嗽夜不得臥夏月亦衣?溫背心是膏?病也炙之而愈[資生] ○ 久嗽宜炙膏?次炙肺兪[資生] ○ 喘急炙肺兪十一壯天突七壯[得效] ○ 傷寒嗽甚炙天突卽差[資生] ○ 遠年咳嗽炙直骨穴卽愈如不愈其病不可治矣艾炷如小豆大炙三壯男左女右[醫鑑] ○ 哮喘炙肺兪又取天突?中璇璣?府乳根氣海[資生] ○ 喘滿痰實如膠取太谿 ○ 咳喘不得臥取雲門太淵[綱目] ○ 咳嗽寒痰取列缺[綱目] ○ 氣逆發?取?中中脘肺兪三里行間[綱目] ○ 吃逆服藥無效炙中脘?中期門必效[綱目] ○ 吃逆炙關元七壯立愈[綱目] ○ 又法乳下一指許正與乳相直骨間陷中婦人卽屈乳頭向下度之乳頭齊處是穴艾炷如小豆大炙三壯男左女右大到肌卽差一云其穴當取乳下骨間動脈處是也[得效] ○ 咳逆不止炙乳根二穴卽止如神又炙臍下氣海五壯或七壯亦立止[正傳] ○ 肺脹痰嗽不得臥但可一邊眠者可左側者炙右足三陰交可右側者炙左足三陰交立安[丹心]

☞ 침뜸치료[鍼炙法]

 ○ 기침할 때에 가래가 많이 나오면 천돌(天突)혈과 폐유(肺兪)혈에 뜸을 떠서 화열(火熱)을 내리고 폐기를 사(瀉)해야 한다[단심].
○ 기침이 나고 기가 치밀어 오르며 찬 가래를 많이 뱉을 때에는 폐유혈에 뜸 50장을 뜬다. 또는 양쪽 젖 아래의 흑백육제(黑白肉際)에 뜸을 각각 1백장씩 뜨기도 한다. 
○ 기침소리가 갈리고 목이 쉬었을 때에는 천돌(天突)혈에 뜸 50장을 뜬다[득효]. 
○ 오래된 천식과 기침으로 밤이 되어도 눕지 못하고 여름에도 잔등이 차서 옷을 더 입어야 할 때가 있는데 이것은 고황(膏?)에 병이 든 것이므로 뜸을 뜨면 낫는다[자생]. 
○ 오래된 기침에는 고황혈에 뜸을 뜬 다음 폐유혈에 뜬다[자생]. 
○ 숨이 찰 때는 폐유혈에 뜸 11장 뜨고 천돌혈에 7장 뜬다[득효]. 
○ 상한(傷寒)으로 기침이 심할 때에는 천돌혈에 뜸을 뜨면 곧 낫는다[자생]. 
○ 여러 해 된 기침에는 직골(直骨)혈에 뜸을 뜨면 곧 낫는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렵다. 뜸봉을 팥알만하게 하여 3장씩 뜨되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떠야 한다[의감]. 
○ 효천(哮喘)에는 폐유혈에 뜸을 뜬다. 또는 천돌, 전중(?中), 선기(璇璣), 유부(兪府), 유근(乳根), 기해(氣海) 혈에 뜨기도 한다[자생]. 
○ 숨이 차고 가슴이 그득하면서 답답하며 가래가 몹시 걸쭉하여 갖풀(아교) 같을 때에는 태계(太谿)혈에 놓는다. 
○ 기침이나 천식으로 눕지 못하면 운문(雲門)과 태연(太淵)혈에 놓는다[강목]. 
○ 기침이 나고 찬 가래가 성한 데는 열결(列缺)혈에 놓는다[강목]. 
○ 기가 치밀어 올라와 딸꾹질이 나는 데는 전중, 중완(中腕), 폐수, 삼리(三里), 행간(行間) 혈에 놓는다[강목]. 
○ 딸꾹질이 나서 약을 먹었으나 효과가 없을 때에는 중완, 전중, 기문(期門) 혈에 뜸을 뜨면 반드시 낫는다[강목]. 
○ 딸꾹질이 날 때에는 관원(關元)혈에 뜸 7장을 뜨면 곧 낫는다[강목]. 
○ 또한 젖 아래로 1손가락 너비만큼 내려가 뼈 사이의 우묵한 곳, 그리고 부인은 젖꼭지를 아래로 꼬부려서 젖꼭지가 닿는 곳, 이곳이 수혈인데 여기에 뜸봉을 팥알만하게 하여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3장씩 떠도 곧 낫는다. 또는 젖 아래 뼈 사이의 맥이 뛰는 곳이 혈이라고 한 데도 있다[득효]. 
○ 딸꾹질이 멎지 않을 때에는 양쪽 유근(乳根)혈에 뜸을 뜨면 잘 낫는다. 또 배꼽 아래의 기해혈에 5장이나 7장을 떠도 곧 낫는다[정전]. 
○ 폐창(肺脹)으로 가래가 성하고 기침이 나면서 눕지 못하거나 다만 한쪽으로만 누워 잔다고 하면 왼쪽으로만 누워 잘 때에는 오른쪽의 삼음교(三陰交)혈에 뜸을 뜨고 오른쪽으로만 누워 잘 때에는 왼쪽의 삼음교혈에 뜸을 뜨면 곧 낫는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벌레(蟲部)] 해(蟹, 게) 602
[채소(菜部)] 파릉(??, 시금치) 602
[풀(草部)] 과루근(瓜蔞根, 하늘타리뿌리) 과루실(瓜蔞實, 하늘타리) 과루인(瓜蔞仁, 하늘타리씨) 과루분(瓜蔞粉, 하늘타리뿌리 가루) 601
[눈(眼)] 산예(散翳) 601
[눈(眼)] 단방(單方)/눈 601
[귀(耳)] 맥 보는 법[脈法]/귀 601
[학질(?疾)] 방예하는 법[禳法] 601
[잡방(雜方)] 침을 삼키거나 물을 마시는 방법[嚥津服水法]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채소(菜部)] 고채(苦菜, 씀바귀) 601
[언어(言語)] 부인이 몸풀기 전에 말을 못하는 증과 몸푼 뒤에 말을 못하는 증[婦人産前不語産後不語] 600
[한(寒)] 음양역증(陰陽易證) 600
[온역(瘟疫)] 온역의 원인[瘟疫之因] 600
[소아(小兒)] 경휵(驚?) 600
[풀(草部)] 모근(茅根, 띠뿌리) 모화(茅花, 띠꽃) 모침(茅鍼, 띠가시) 599
[살(肉)] 살은 비위에 속한다[肉屬脾胃] 599
[후음(後陰)] 항문을 달리 부르는 이름[肛門別名] 599
[소아(小兒)] 적과 벽[積癖] 599
[골(骨)] 뼈에 생긴 병이 겉에 나타나는 증후[骨病外證] 598
[손(手)] 단방(單方)/팔 598
[서(暑)] 서란 상화가 작용하는 것이다[暑者相火行令也] 598
[사수(邪崇)] 시주병을 알아내는 방법[驗尸?法] 598
[소아(小兒)]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598
[언어(言語)] 우는 것[哭] 597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눈(眼)] 태풍적란(胎風赤爛) 597
[한(寒)] 상한의 주된 병 형태[傷寒大法] 597
[기침(咳嗽)] 침뜸치료[鍼炙法] 597
[부인(婦人)] 갑자기 유산하는 것[卒墮胎] 597
[인부(人部)] 인중황(人中黃) 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