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취(積聚)

열울(熱鬱)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921 추천 수 0
◎ 熱鬱 ○ 目蒙口乾舌燥小便赤濁脈沈數宜用靑黛香附蒼朮川芎梔子[入門] ○ 宜服升陽散火湯火鬱湯(二方?見火門)

☞ 열울(熱鬱)

 ○ 열울 때에는 눈이 잘 보이지 않고 입과 혀가 마르며 오줌이 벌거면서 뿌옇고 맥이 침(沈)하고 삭(數)하다. 이런 데는 청대, 향부자, 창출, 천궁, 산치자(치자)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 화울탕(火鬱湯, 이 2가지 처방은 다 화문에 있다)을 먹는 것이 좋다.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107. 火鬱湯(화울탕)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오심열(五心熱)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열궐(熱厥) by 한닥터
  4. 태암 처방집 五心煩熱(오심번열) 升陽散火湯(승양산화탕)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 by 한닥터
  6. 방약합편 승양산화탕- 升陽散火湯 by 한닥터
  7. 방약합편 화울탕- 火鬱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의 증상[大腸病證] 937
[부인(婦人)] 해산 후에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産後心腹腰脇痛] 937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을 치료하는 법[大腸病治法] 936
[서(暑)] 서풍(暑風) 936
[제창(諸瘡)] 나두창(癩頭瘡) 936
[내상(內傷)] 식상증(食傷證) 935
[부인(婦人)] 자종(子腫) 934
[오줌(小便)] 고림(膏淋) 933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3
[간장(肝臟)] 단방(單方)/간장 932
[풍(風)] 역절풍의 원인[歷節風病因] 932
[오줌(小便)] 사림(沙淋) 931
[신(神)] 단방(單方)/신 930
[귀(耳)]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930
[허리(腰)] 허리는 신에 속한 부이다[腰爲腎府] 930
[해독(解毒)] 산초중독[川椒毒] 930
[눈(眼)] 눈이 아픈 것[眼疼] 929
[전음(前陰)] 음경이 늘어지거나 줄어드는 것[陰縱陰縮] 929
[손(手)] 어깨뼈와 팔뼈가 어긋난 것[肩臂骨脫臼] 928
[꿈(夢)] 늙인이와 젊은이가 잠을 자는 것이 다르다[老少之睡不同] 926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머리(頭)] 기훈(氣暈) 924
[창만(脹滿)] 기창(氣脹) 치료법 924
[벌레(蟲部)] 상표초(桑??, 사마귀알집) 924
[심장(心臟)] 단방(單方)/심장 921
[피부(皮)] 내상으로 반진이 돋은 것[內傷發?] 921
[적취(積聚)] 열울(熱鬱) 921
[신(神)] 신병(神病)에 약 쓰는 비결[神病用藥訣] 920
[소아(小兒)]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920
[가슴(胸)] 주심통(?心痛) 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