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취(積聚)

혈울(血鬱)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869 추천 수 0
◎ 血鬱 ○ 四肢無力能食小便淋大便紅脈沈?澁宜用桃仁紅花靑黛川芎香附子[入門] ○ 宜服生?飮順氣丸當歸活血湯

☞ 혈울(血鬱)

 ○ 혈울 때에는 팔다리에 힘이 없고 음식은 잘 먹으며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며 맥이 침(沈), 규(?), 삽(澁)하다. 이런 데는 도인, 잇꽃(홍화), 청대, 천궁, 향부자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 생구음, 순기환, 당귀활혈탕을 먹는 것이 좋다.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식울(食鬱)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순기환(順氣丸)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처방집 생구음(生 飮)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화(火)] 열은 낮에 나는 것과 밤에 나는 것의 구별이 있다[熱有晝夜之分] 1780
[화(火)] 화와 열에도 실한 것과 허한 것이 있다[火熱有實有虛] 1847
[화(火)] 장부의 열을 판단하는 부위[審臟腑熱之部分] 804
[화(火)] 손으로 눌러 보아 열이 깊이 있고 얕게 있는 것을 알 수 있다[手按辨熱深淺] 673
[화(火)] 신열(腎熱) 2006
[화(火)] 폐열(肺熱) 1251
[화(火)] 비열(脾熱) 1384
[화(火)] 심열(心熱) 1993
[화(火)] 간열(肝熱) 2591
[화(火)] 5장열증의 감별[辨五臟熱證] 819
[화(火)] 맥 보는 법[脈法] 615
[화(火)] 화는 원기의 적이다[火爲元氣之賊] 807
[화(火)]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1449
[조(燥)] 단방(單方) 575
[조(燥)] 조병에는 혈을 보하는 것이 좋다[燥宜養血] 1353
[조(燥)] 조병은 폐금의 병이다[燥者肺金之病] 692
[조(燥)] 맥 보는 법[脈法] 538
[조(燥)] 조는 피가 적기 때문에 생긴다[燥因血少] 758
[습(濕)] 침치료[鍼法] 615
[습(濕)] 단방(單方) 724
[습(濕)] 습병에 땀을 몹시 내면 치병이 된다[濕病大汗則成?] 868
[습(濕)] 습병에는 땀을 내고 설사시키는 것과 뜸뜨는 것을 금한다[濕病禁汗下及炙] 700
[습(濕)]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1809
[습(濕)] 습에는 내습과 외습이 있다[濕有內外之殊] 770
[습(濕)] 습병은 흔히 몸이 아프고 서병은 몸이 아프지 않다[濕多身痛暑無身痛] 629
[습(濕)] 파상습(破傷濕) 629
[습(濕)] 주습(酒濕) 917
[습(濕)] 습온(濕溫) 1040
[습(濕)] 습열(濕熱) 2054
[습(濕)] 습비(濕痺) 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