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취(積聚)

비괴와 적취가 생기는 부위[ 塊積聚所屬部分]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767 추천 수 0
◎ ?塊積聚所屬部分 ○ 凡?塊積聚在中爲痰飮 ○ 在右爲食積 ○ 在左爲血積[丹心] ○ 夫左爲血塊右爲食積中爲痰飮此言誠然夫左關肝膽之位主藏血液右關脾胃之位主藏飮食中間則爲水穀出入之道路所以左爲血塊右爲食積中爲痰飮其理昭然[丹心]

☞ 비괴와 적취가 생기는 부위[ 塊積聚所屬部分]

 ○ 비괴나 적취가 가운데 있는 것은 담음(痰飮)으로 생긴 것이다. ○ 오른쪽에 있는 것은 식적(食積)이다. ○ 왼쪽에 있는 것은 혈적(血積)이다[단심]. ○ 왼쪽에 있는 것은 혈괴(血塊)이고 오른쪽에 있는 것은 식적이며 가운데 있는 것은 담음(痰飮)으로 생긴 것이라고 하는데 이 말이 과연 옳다. 왼쪽 관(關) 부위는 간담(肝膽)과 연관된 부위인데 간담은 피를 간직하는 것을 주관한다. 오른쪽 관 부위는 비위(脾胃)와 연관된 부위인데 비위는 음식을 간직하는 것을 주관한다. 가운데는 음식이 들어가고 나가는 길이다. 그러므로 왼쪽에 있는 것은 혈괴이고 오른쪽에 있는 것은 식적이며 가운데 있는 것은 담음으로 생긴 것이라는 말이 정확한 것이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 때 태우면서 냄새를 맡는 약[喘嗽熏藥] 447
[기침(咳嗽)] 효증(哮證) 995
[기침(咳嗽)] 폐창증(肺脹證) 879
[기침(咳嗽)] 폐위증(肺?證) 903
[기침(咳嗽)] 해역증(咳逆證) 564
[기침(咳嗽)] 해역과 얼은 한 가지이다[咳逆與?爲一] 514
[기침(咳嗽)] 해역을 치료하는 방법[咳逆治法] 1082
[기침(咳嗽)] 이질을 앓고 난 뒤에 생기는 해역[痢後咳逆] 722
[기침(咳嗽)] 음식이 막혀서 생기는 해역[食塞咳逆] 610
[기침(咳嗽)] 가래가 막혀서 생기는 해역[痰閉咳逆] 788
[기침(咳嗽)] 물이 몰려서 생기는 해역[水結咳逆] 650
[기침(咳嗽)] 지나치게 웃어서 생기는 해역[過笑咳逆] 342
[기침(咳嗽)] 해역 때 치료하기 쉬운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咳逆易治難治證] 828
[기침(咳嗽)] 재채기를 하게 하는 방법[取?法] 447
[기침(咳嗽)] 코에 냄새를 쏘이는 방법[?法] 477
[기침(咳嗽)] 꺼려야 할 것[禁忌法] 370
[기침(咳嗽)] 기침, 천식, 딸꾹질 때 치료하기 어려운 증[嗽喘咳逆不治證] 639
[기침(咳嗽)] 단방(單方) 493
[기침(咳嗽)] 침뜸치료[鍼炙法] 597
[적취(積聚)] 적취의 원인[積聚之因] 1029
[적취(積聚)] 5적과 6취에 대하여[論五積六聚] 804
[적취(積聚)] 복량에는 2가지 증이 있다[伏梁有二證] 906
[적취(積聚)] 맥 보는 법[脈法] 754
[적취(積聚)] 습울(濕鬱) 1062
[적취(積聚)] 열울(熱鬱) 920
[적취(積聚)] 담울(痰鬱) 1147
[적취(積聚)] 혈울(血鬱) 868
[적취(積聚)] 식울(食鬱) 1451
[적취(積聚)] 비괴와 적취가 생기는 부위[ 塊積聚所屬部分] 767
[적취(積聚)] 비괴의 증상과 치료[?塊證治] 1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