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취(積聚)

여러 가지 음식에 상하면 적이 된다[諸物傷成積]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677 추천 수 0
◎ 諸物傷成積 ○ 凡人脾胃虛弱或飮食過常或生冷過度不能剋化致成積聚結塊心腹脹滿噫氣呑酸面靑肌瘦一曰食積二曰酒積三曰?積四曰肉積五曰魚蟹積六曰果菜積七曰茶積八曰水積九曰血積十曰?積[得效]

☞ 여러 가지 음식에 상하면 적이 된다[諸物傷成積]

 ○ 비위(脾胃)가 허약할 때 혹 음식을 지나치게 먹거나 생것과 찬 것을 지나치게 먹으면 소화시키지 못한다. 그렇게 되면 적취나 비괴가 되어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트림이 나고 신물이 올라오며 얼굴이 퍼렇게 되고 몸이 여윈다. 첫번째는 식적(食積)이고 두번째는 주적(酒積)이며 세번째는 면적(麵積)이고 네번째는 육적(肉積)이며 다섯번째는 어해적(魚蟹積)이고 여섯번째는 과채적(果菜積)이며 일곱번째는 다적(茶積)이고 여덟번째는 수적(水積)이며 아홉번째는 혈적(血積)이고 열번째는 충적(蟲積)이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벌레(蟲部)] 해(蟹, 게) 602
[채소(菜部)] 파릉(??, 시금치) 602
[풀(草部)] 과루근(瓜蔞根, 하늘타리뿌리) 과루실(瓜蔞實, 하늘타리) 과루인(瓜蔞仁, 하늘타리씨) 과루분(瓜蔞粉, 하늘타리뿌리 가루) 601
[눈(眼)] 산예(散翳) 601
[눈(眼)] 단방(單方)/눈 601
[귀(耳)] 맥 보는 법[脈法]/귀 601
[학질(?疾)] 방예하는 법[禳法] 601
[잡방(雜方)] 침을 삼키거나 물을 마시는 방법[嚥津服水法]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언어(言語)] 부인이 몸풀기 전에 말을 못하는 증과 몸푼 뒤에 말을 못하는 증[婦人産前不語産後不語] 600
[한(寒)] 음양역증(陰陽易證) 600
[온역(瘟疫)] 온역의 원인[瘟疫之因] 600
[소아(小兒)] 경휵(驚?) 600
[채소(菜部)] 고채(苦菜, 씀바귀) 600
[풀(草部)] 모근(茅根, 띠뿌리) 모화(茅花, 띠꽃) 모침(茅鍼, 띠가시) 599
[살(肉)] 살은 비위에 속한다[肉屬脾胃] 599
[후음(後陰)] 항문을 달리 부르는 이름[肛門別名] 599
[소아(小兒)] 적과 벽[積癖] 599
[골(骨)] 뼈에 생긴 병이 겉에 나타나는 증후[骨病外證] 598
[손(手)] 단방(單方)/팔 598
[서(暑)] 서란 상화가 작용하는 것이다[暑者相火行令也] 598
[사수(邪崇)] 시주병을 알아내는 방법[驗尸?法] 598
[소아(小兒)]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598
[언어(言語)] 우는 것[哭] 597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눈(眼)] 태풍적란(胎風赤爛) 597
[한(寒)] 상한의 주된 병 형태[傷寒大法] 597
[기침(咳嗽)] 침뜸치료[鍼炙法] 597
[부인(婦人)] 갑자기 유산하는 것[卒墮胎] 597
[인부(人部)] 인중황(人中黃) 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