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종(浮腫)

결양증(結陽證)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783 추천 수 0
◎ 結陽證 ○ 內經曰結陽者腫四肢註曰素嘗氣疾濕熱加之氣濕熱爭故爲腫也邪氣漸盛正氣漸微陽氣衰少致邪代正氣不宣通故四維發腫諸陽受氣於四肢也今人見手足關節腫痛全以爲風治者誤矣犀角湯主之[正傳]

☞ 결양증(結陽證)

 ○ 『내경』에 결양(結陽)이라는 것은 팔다리가 붓는 것이라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본래 기에 병이 있을 때 습열까지 겹치면 기와 습열이 부딪치게 되어 부종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사기(邪氣)가 점차 성하면 정기(正氣)가 점점 약해지고 양기가 쇠약해진다. 그러면 정기가 사기의 침범을 받아 잘 퍼지지 못하므로 팔다리가 붓는다. 그것은 팔다리가 모든 양의 기를 받기 때문이다. 요즘 사람들은 팔다리의 뼈마디가 붓고 아픈 것을 보면 오직 풍(風)으로만 보고 치료하는데 이것은 잘못이다. 이런 데는 서각탕을 주로 쓴다[정전]. 

? 犀角湯 ○ 治結陽證四肢腫閉犀角玄參各一錢升麻木通各八分連翹柴胡各六分沈香射干甘草各五分芒硝麥門冬各四分右?作一貼水煎服[入門]
☞ 서각탕(犀角湯) ○ 결양증으로 팔다리가 몹시 붓는 것을 치료한다. ○ 서각, 현삼 각각 4g, 승마, 목통 각각 3.2g, 연교, 시호 각각 2.4g, 침향, 범부채(사간), 감초 각각 2g, 망초, 맥문동 각각 1.6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서각탕(犀角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충(蟲)] 단방(單方)/충 596
[눈(眼)] 침뜸치료[鍼灸法]/눈 596
[옆구리(脇)] 옆구리와 겨드랑이의 치수[脇腋度數] 596
[소아(小兒)] 비열(脾熱) 596
[채소(菜部)] 수근(水芹, 미나리) 596
[침구(針灸)] 뜸의 보사법[灸補瀉法] 595
[전음(前陰)] 전음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前陰諸疾] 595
[천지운기(天地運氣)] 1원 12회 30운에 대하여[論一元十二會三十運] 595
[곽란(?亂)] 곽란 때에 침을 놓는 방법[?亂鍼法] 595
[소아(小兒)] 구토(嘔吐) 595
[벌레(蟲部)] 별갑(鱉甲, 자라등딱지) 595
[채소(菜部)] 채소부[菜部] ○ 모두 122가지이다. 595
[충(蟲)] 노채충(勞?蟲)의 생김새와 빛깔을 갈라보는 방법[辨?蟲形色] 594
[용약(用藥)] 5가지 울증에 대한 치료법[五鬱治法] 594
[풍(風)] 여러 가지 풍증에 대한 이름[諸風病名] 594
[벌레(蟲部)] 오공(蜈蚣, 지네) 594
[풀(草部)] 자초(紫草, 지치) 593
[대변(大便)] 고주리(蠱疰痢) 593
[곽란(?亂)] 곽란에는 건곽란과 습곽란이 있다[?亂有乾有濕] 593
[학질(?疾)] 단방(單方) 593
[해독(解毒)] 고독이 있는가 없는가를 시험하는 방법[驗蠱毒法] 593
[인부(人部)] 부인월수(婦人月水, 월경수) 593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2
[눈(眼)] 풍륜(風輪) 592
[한(寒)] 양명증 때 헛소리를 하는 것[陽明證?語] 592
[한(寒)] 상한병에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傷寒筋?肉?] 592
[내상(內傷)] 음식물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기본이다[水穀爲養命之本] 592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92
[곡식(穀部)] 면(麵, 밀가루) 한식면(寒食麵) 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