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종(浮腫)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不治證]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683 추천 수 0
◎ 可治不治證 ○ 凡浮腫陰囊軟者可治[入門] ○ 患腫人腹上以手按之有窩者可治[醫鑑] ○ 腫滿善證男從上而腫下女從下而腫上所患未久旋利腫退喘定則愈矣[得效] ○ 男從脚下腫而上女從頭上腫而下皆不治 ○ 男從脚下女從頭上腫起皆爲逆陰陽微妙如此[入門] ○ 大凡虛腫先起於腹而後散於四肢者可活先起於四肢而後歸於腹者不治 ○ 至若蠱脹而?上有靑筋 ○ 腹滿而大便滑泄 ○ 久?而轉作虛浮 ○ 與夫脣黑傷肝缺盆平傷心臍突傷脾足心平傷腎背平傷肺皆爲不治之證 ○ 或肉硬或手掌平皆不治[直指] ○ 脣腫齒焦者死 ○ 卒脣腫而蒼黑者死 ○ 掌腫無紋者死 ○ 臍腫凸出者死 ○ 缺盆平者死 ○ 陰囊莖俱腫者死 ○ 脈絶口張足腫者死 ○ 足趺腫膝如斗者死[正傳] ○ 凡水腫大喘氣#不食乃腎水盈溢上行傍浸於肺也不治[得效]

☞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不治證]

 ○ 대체로 부종 때 음낭이 부드러우면 치료할 수 있다[입문]. ○ 부종 때 배를 손으로 눌러보아 움푹 들어가면 치료할 수 있다[의감]. ○ 부종이나 창만 때 남자가 위로부터 내려 붓거나 여자가 아래로부터 올려 부으면 오래지 않아 부은 것이 내리고 숨찬 것이 멎으면서 낫는다[득효]. ○ 남자가 다리에서부터 올려 붓거나 여자가 머리에서부터 내려 붓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 남자가 다리부터 붓거나 여자가 머리부터 붓는 것은 다 역(逆)증인데 음양이 미묘하다고 하는 것이 이런 것이다[입문]. ○ 대체로 푸석푸석 붓는 것이 먼저 배에서부터 시작하여 팔다리로 퍼지는 것은 살릴 수 있고 먼저 팔다리에서부터 시작하여 배로 퍼지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 고창(蠱脹)으로 배에 파란 핏줄이 서는 것 ○ 배가 그득하면서 대변이 묽은 것 ○ 학질을 오래 앓다가 푸석푸석 붓는 것 ○ 부종이 있으면서 입술이 검게 되는 것은 간(肝)이 상한 것이고 결분(缺盆)이 편평해지는 것은 심(心)이 상한 것이며 배꼽이 도드라져 올라오는 것은 비(脾)가 상한 것이고 발바닥이 펀펀해지는 것은 신(腎)이 상한 것이며 등이 편평해지는 것은 폐(肺)가 상한 것인데 이것들은 다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이다. ○ 혹 살이 단단해지거나 손바닥이 편평해지는 것은 다 치료하기 어렵다[직지]. ○ 입술이 붓고 이빨이 검게 되는 것은 위험하다. ○ 갑자기 입술이 부으면서 검푸르게 되는 것은 위험하다. ○ 손바닥이 부어서 손금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죽는다. ○ 배꼽이 도드라져 나온 것은 위험하다. ○ 결분이 편평해진 것은 위험하다. ○ 음낭과 음경이 다 붓는 것은 위험하다. ○ 맥이 끊어지고 입을 벌리고 있으며 발이 붓는 것은 위험하다. ○ 발등이 붓고 무릎이 부어 말박만해지면[斗] 죽을 수 있다[정전]. ○ 대체로 수종 때 숨이 몹시 차고 숨결이 거칠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은 신수(腎水)가 넘쳐나서 위로 올라가 폐로 침습했기 때문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서(暑)] 상한(傷寒)이 전변하여 온병이나 서병이 된다[傷寒傳變爲溫爲暑] 684
[폐장(肺臟)] 폐가 주관하는 날짜[肺主時日] 683
[내상(內傷)] 식궐(食厥) 683
[곽란(?亂)] 곽란의 원인[?亂之因] 683
[적취(積聚)] 도인법(導引法) 683
[부종(浮腫)]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不治證] 683
[물고기(魚部)] 교어피(鮫魚皮, 상어가죽) 683
[목소리(聲音)] 치료를 못하는 증[不治證] 682
[언어(言語)] 어린이가 말을 늦게 하는 것[小兒語遲] 682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의 병을 맥으로 가른다는 것[脈辨臟腑] 682
[포(胞)] 포는 혈실이다[胞爲血室] 682
[서(暑)] 서병(暑病)의 형태와 증상[暑病形證] 682
[기침(咳嗽)] 맥 보는 법[脈法] 682
[풀(草部)] 암려자(菴?子) 681
[혈(血)] 꺼려야 할 것[禁忌]/혈 681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의 병증은 다르다[臟腑異證] 681
[온역(瘟疫)] 전염되지 않게 하는 방법[不傳梁法] 681
[인부(人部)] 인시(人屎, 마른똥) 681
[한(寒)] 소음병 때에는 맥이 침하다[少陰病脈沈] 680
[충(蟲)] 위를 따뜻하게 해서 회충증을 안정시킨다[溫胃安蟲] 679
[한(寒)] 상한 때의 조열[傷寒潮熱] 679
[소아(小兒)]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679
[풍(風)] 중풍에 대한 이름이 같지 않다는 것[中風之名各不同] 678
[내상(內傷)] 비기가 몰려서 먹지 못하는 것[脾結不食] 678
[과실(果部)] 검인(芡仁, 가시연밥) 678
[적취(積聚)] 여러 가지 음식에 상하면 적이 된다[諸物傷成積] 677
[진맥(診脈)] 병이 심할 때에는 반드시 태계맥과 충양맥을 짚어 보아야 한다[凡病革必診太谿衝陽] 676
[내상(內傷)] 음식물의 정기가 음양으로 변화되어 영과 위로 들어간다[水穀之精化陰陽行榮衛] 676
[옹저(癰疽)] 둔옹(臀癰) 676
[제상(諸傷)] 타박을 받아 부은 것을 내리고 흠집이 생기지 않게 하는 방법[打撲傷消腫滅瘢] 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