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만(脹滿)

곡창(穀脹) 치료법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712 추천 수 0
◎ 穀脹 ○ 宜鷄矢醴散大異香散

☞ 곡창(穀脹) 치료법

 ○ 계시례산, 대이향산을 쓴다. 

? 鷄矢醴散 ○ 治穀脹朝食則不能暮食又治氣脹水脹及蠱脹鷄矢白乾者大黃桃仁各等分右爲末每二錢薑湯調服[宣明] ○ 一方?鷄屎一升炒黃色細末百沸湯三升淋汁每取一大盞調木香檳?末各一錢空心服以平爲期名曰鷄矢醴飮[正傳]
☞ 계시례산(鷄矢醴散) ○ 곡창으로 아침에 먹으면 저녁에 먹지 못하게 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기창, 수창, 고창도 치료한다. ○ 계시백(?屎白)(鷄矢白, 말린 것), 대황, 도인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선명]. ○ 또 한 가지 처방은 다음과 같다. 갈계시 1되를 누렇게 되도록 볶아 부드럽게 가루내어 끓는 물 3되에 풀어서 한번에 큰 잔으로 1잔씩 쓰는데 여기에 목향과 빈랑 가루 각각 4g씩 타서 빈속에 먹는다. 나을 때까지 써야 한다. 이것을 일명 계시례음(鷄矢醴飮)이라고 한다[정전]. 

? 大異香散 ○ 治穀脹亦治氣脹三稜蓬朮靑皮陳皮藿香半夏麴桔梗益智仁香附子枳殼各一錢甘草二分半右?作一貼入薑五棗二水煎服[入門]
☞ 대이향산(大異香散) ○ 곡창을 치료하는데 기창도 낫게 한다. ○ 삼릉, 봉출, 청피(靑皮), 陳皮, 곽향, 반하국, 길경, 익지인, 향부자, 지각 각각 4g, 감초 1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대이향산(大異香散)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계시례산(鷄矢醴散) by 한닥터
  3. 방약합편 44 대이향산(大異香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습(濕)] 한습(寒濕) 2012
[습(濕)] 풍습(風濕) 1278
[습(濕)] 중습(中濕) 1145
[습(濕)] 습병에 7가지가 있다[濕病有七] 655
[습(濕)] 습병은 상한과 비슷하다[濕病類傷寒] 663
[습(濕)] 화와 열은 습을 생기게 한다[火熱生濕] 1170
[습(濕)] 안개와 이슬의 맑고 탁한 사기가 사람에게 침습한다[霧露淸濁之邪中人] 1021
[습(濕)] 습기가 몸에 침습하여도 잘 깨닫지 못한다[濕氣侵人不覺] 833
[습(濕)] 맥 보는 법[脈法] 634
[습(濕)] 안개와 이슬 기운이 장기가 된다[霧露之氣爲?] 1036
[습(濕)] 습은 물 기운이다[濕乃水氣] 763
[서(暑)] 단방(單方) 543
[서(暑)] 서열에 두루 쓰는 약[暑熱通治藥] 792
[서(暑)] 여름철 더위를 먹지 않게 조섭하는 법[夏暑將理法] 655
[서(暑)] 주하병(注夏病) 1050
[서(暑)] 복서증(伏暑證) 741
[서(暑)] 서병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暑病吐瀉] 987
[서(暑)] 서열로 번갈이 나는 것[暑熱煩渴] 1142
[서(暑)] 서풍(暑風) 936
[서(暑)] 서병에는 모서(冒暑),중서(中暑), 상서(傷暑)의 3가지 증이 있다[暑有冒暑中暑傷暑三證] 1333
[서(暑)] 무더운 여름에는 기(氣)를 보해야 한다[夏暑宜補氣] 1172
[서(暑)] 중갈과 중열의 감별[中?中熱之辨] 1040
[서(暑)] 중서 때의 구급치료[中暑救急] 794
[서(暑)] 서병(暑病)의 형태와 증상[暑病形證] 682
[서(暑)] 맥 보는 법[脈法] 542
[서(暑)] 상한(傷寒)이 전변하여 온병이나 서병이 된다[傷寒傳變爲溫爲暑] 684
[서(暑)] 서란 상화가 작용하는 것이다[暑者相火行令也] 598
[한(寒)] 침뜸치료[鍼炙法]/한(寒) 608
[한(寒)] 단방(單方)/한(寒) 489
[한(寒)] 상한부(傷寒賦) 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