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만(脹滿)

곡창(穀脹) 치료법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712 추천 수 0
◎ 穀脹 ○ 宜鷄矢醴散大異香散

☞ 곡창(穀脹) 치료법

 ○ 계시례산, 대이향산을 쓴다. 

? 鷄矢醴散 ○ 治穀脹朝食則不能暮食又治氣脹水脹及蠱脹鷄矢白乾者大黃桃仁各等分右爲末每二錢薑湯調服[宣明] ○ 一方?鷄屎一升炒黃色細末百沸湯三升淋汁每取一大盞調木香檳?末各一錢空心服以平爲期名曰鷄矢醴飮[正傳]
☞ 계시례산(鷄矢醴散) ○ 곡창으로 아침에 먹으면 저녁에 먹지 못하게 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기창, 수창, 고창도 치료한다. ○ 계시백(?屎白)(鷄矢白, 말린 것), 대황, 도인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선명]. ○ 또 한 가지 처방은 다음과 같다. 갈계시 1되를 누렇게 되도록 볶아 부드럽게 가루내어 끓는 물 3되에 풀어서 한번에 큰 잔으로 1잔씩 쓰는데 여기에 목향과 빈랑 가루 각각 4g씩 타서 빈속에 먹는다. 나을 때까지 써야 한다. 이것을 일명 계시례음(鷄矢醴飮)이라고 한다[정전]. 

? 大異香散 ○ 治穀脹亦治氣脹三稜蓬朮靑皮陳皮藿香半夏麴桔梗益智仁香附子枳殼各一錢甘草二分半右?作一貼入薑五棗二水煎服[入門]
☞ 대이향산(大異香散) ○ 곡창을 치료하는데 기창도 낫게 한다. ○ 삼릉, 봉출, 청피(靑皮), 陳皮, 곽향, 반하국, 길경, 익지인, 향부자, 지각 각각 4g, 감초 1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대이향산(大異香散)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계시례산(鷄矢醴散) by 한닥터
  3. 방약합편 44 대이향산(大異香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화(火)] 화열을 두루 치료하는 약을 쓰는 법[通治火熱藥法] 1249
[화(火)] 단방(單方) 556
[화(火)] 침뜸치료[鍼炙法] 498
[내상(內傷)] 음식과 약으로 병을 치료한다[食藥療病] 786
[내상(內傷)] 음식물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기본이다[水穀爲養命之本] 592
[내상(內傷)] 음식물의 정기가 음양으로 변화되어 영과 위로 들어간다[水穀之精化陰陽行榮衛] 680
[내상(內傷)] 내상에는 음식상과 노권상의 2가지 원인이 있다[內傷有飮食傷勞倦傷二因] 1018
[내상(內傷)] 맥 보는 법[脈法] 542
[내상(內傷)] 식상증(食傷證) 935
[내상(內傷)] 식상의 치료법[食傷治法] 1262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6
[내상(內傷)] 식상에 보하는 약[食傷補益之劑] 1464
[내상(內傷)] 술에 상한 것[酒傷] 846
[내상(內傷)] 술을 마시는 데서 꺼려야 할 것[飮酒禁忌] 662
[내상(內傷)] 술독은 여러 가지 병을 생기게 한다[酒毒變爲諸病] 726
[내상(內傷)]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1868
[내상(內傷)]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醒酒令不醉] 1958
[내상(內傷)] 노권상(勞倦傷) 918
[내상(內傷)]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2115
[내상(內傷)] 노권상의 치료법[勞倦傷治法] 1963
[내상(內傷)] 내상병 때 비위가 허하고 실한 것[內傷病脾胃虛實] 727
[내상(內傷)]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1993
[내상(內傷)] 비기가 몰려서 먹지 못하는 것[脾結不食] 678
[내상(內傷)] 생각을 지나치게 하여 기가 몰려 먹지 못하는 것[思結不食] 582
[내상(內傷)] 음식을 먹은 뒤에 정신이 흐릿하고 몸이 노곤한 것[食後昏困] 1106
[내상(內傷)] 입맛을 잃는 것은 하초의 원양이 쇠약하기 때문이다[不嗜飮食由下元陽衰] 776
[내상(內傷)] 내상병 초기에 속이 열하나 나중에는 속이 차다[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 1389
[내상(內傷)] 내상으로 여러 가지 병이 된다[內傷變爲諸病] 615
[내상(內傷)] 탄산과 토산[呑酸吐酸] 1434
[내상(內傷)] 조잡증(?雜證) 2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