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만(脹滿)

열창(熱脹) 치료법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699 추천 수 0
◎ 熱脹 ○ 宜七物厚朴湯枳殼?散中滿分消丸

☞ 열창(熱脹) 치료법

 ○ 칠물후박탕, 지각좌산, 중만분소환을 쓴다. 

? 七物厚朴湯 ○ 治熱脹厚朴三錢枳實一錢半大黃甘草各一錢桂心五分右?作一貼薑五棗二煎服[得效]
☞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 열창을 치료한다. ○ 후박 12g, 지실 6g, 대황, 감초 각각 4g, 계심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 枳殼?散 ○ 治熱脹厚朴枳殼桔梗各二錢大黃蒸甘草灸各一錢右?作一貼薑五棗二水煎服[直指]
☞ 지각좌산(枳殼?散) ○ 열창을 치료한다. ○ 후박, 지각, 길경 각각 8g, 대황(찐 것), 감초(볶은 것)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 中滿分消丸 ○ 治中滿鼓脹及氣脹水脹然只治熱脹不治寒脹厚朴一兩人參白朮薑黃黃芩黃連枳實半夏各五錢知母四錢澤瀉陳皮各三錢白茯?縮砂乾生薑各二錢猪?甘草各一錢右爲末水浸蒸餠和丸梧子大熱湯下百丸[丹心]
☞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 중만과 고창, 기창, 수창을 치료한다. 그리고 열창은 치료하지만 한창은 치료하지 못한다. ○ 후박 40g, 인삼, 백출, 강황, 황금, 황련, 지실, 반하 각각 20g, 지모 16g, 택사, 陳皮 각각 12g, 백복령, 사인, 생강(말린 것) 각각 8g, 저령,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물에 불린 증병(蒸餠)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따끈한 물로 먹는다[단심].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지각좌산(枳殼 散)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by 한닥터
  4. 방약합편 46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과 비슷한 4가지증[傷寒相類四證] 357
[한(寒)] 상한의 16가지 이름[傷寒十六名] 419
[한(寒)] 상한에 5가지가 있다[傷寒有五種] 419
[한(寒)] 고랭(痼冷) 699
[한(寒)] 임신부의 상한[孕婦傷寒] 584
[한(寒)] 외감으로 속이 상하여 허증이 된 데는 보해야 한다[外感內傷虛證宜補] 433
[한(寒)] 외감에 내상을 겸한 증[外感挾內傷證] 980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한(寒)] 한궐로 갑자기 까무러친 것[寒厥暴亡] 478
[한(寒)] 중한증(中寒證) 573
[한(寒)] 상한에 삼가하고 꺼려야 할 것[傷寒戒忌] 401
[한(寒)] 상한에 대한 10가지 권고[傷寒十勸] 476
[한(寒)] 상한에 치료할 수 없는 증[傷寒不治證] 393
[한(寒)] 상한에 예후가 나쁜 증[傷寒凶證] 389
[한(寒)]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655
[한(寒)]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632
[한(寒)]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설사시켜야 한다[下後熱不退宜再下] 462
[한(寒)] 맥이 세게 뛰지 않으면 설사시키지 못한다[脈不鼓擊不可下] 416
[한(寒)] 빨리 설사시켜야 할 2가지 증[急下兩證] 378
[한(寒)]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1096
[한(寒)] 땀을 억지로 내면 수명을 단축한다[促汗夭壽] 436
[한(寒)]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735
[한(寒)] 망양증(亡陽證) 562
[한(寒)] 땀을 내는 법[發汗法] 422
[한(寒)] 땀을 내야 할 증과 땀을 내서는 안될 증[可汗不可汗證] 639
[한(寒)] 상한 때 토하게 할 수 있는 증[傷寒可吐證] 503
[한(寒)] 상한병이 나으려고 하는 것[傷寒欲解] 418
[한(寒)]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1606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1
[한(寒)] 호혹증(狐惑證)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