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만(脹滿)

열창(熱脹) 치료법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699 추천 수 0
◎ 熱脹 ○ 宜七物厚朴湯枳殼?散中滿分消丸

☞ 열창(熱脹) 치료법

 ○ 칠물후박탕, 지각좌산, 중만분소환을 쓴다. 

? 七物厚朴湯 ○ 治熱脹厚朴三錢枳實一錢半大黃甘草各一錢桂心五分右?作一貼薑五棗二煎服[得效]
☞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 열창을 치료한다. ○ 후박 12g, 지실 6g, 대황, 감초 각각 4g, 계심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 枳殼?散 ○ 治熱脹厚朴枳殼桔梗各二錢大黃蒸甘草灸各一錢右?作一貼薑五棗二水煎服[直指]
☞ 지각좌산(枳殼?散) ○ 열창을 치료한다. ○ 후박, 지각, 길경 각각 8g, 대황(찐 것), 감초(볶은 것)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 中滿分消丸 ○ 治中滿鼓脹及氣脹水脹然只治熱脹不治寒脹厚朴一兩人參白朮薑黃黃芩黃連枳實半夏各五錢知母四錢澤瀉陳皮各三錢白茯?縮砂乾生薑各二錢猪?甘草各一錢右爲末水浸蒸餠和丸梧子大熱湯下百丸[丹心]
☞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 중만과 고창, 기창, 수창을 치료한다. 그리고 열창은 치료하지만 한창은 치료하지 못한다. ○ 후박 40g, 인삼, 백출, 강황, 황금, 황련, 지실, 반하 각각 20g, 지모 16g, 택사, 陳皮 각각 12g, 백복령, 사인, 생강(말린 것) 각각 8g, 저령,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물에 불린 증병(蒸餠)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따끈한 물로 먹는다[단심].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지각좌산(枳殼 散)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by 한닥터
  4. 방약합편 46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내상(內傷)] 오농(懊?) 726
[내상(內傷)] 트림[噫氣] 1830
[내상(內傷)] 열격과 반위[?膈反胃] 715
[내상(內傷)] 심신을 안정시키고 비위를 고르게 하는 법[安養心神調治脾胃] 540
[내상(內傷)] 내상 때 조리하는 법[內傷將理法] 559
[내상(內傷)] 5가지 맛을 지나치게 먹으면 병이 된다[五味過傷爲病] 431
[내상(內傷)] 수토가 맞지 않아서 생긴 병은 내상과 같다[不伏水土病與內傷同] 838
[내상(內傷)] 내상때 조리하고 보하는 약[內傷調補藥] 1052
[내상(內傷)] 식궐(食厥) 684
[내상(內傷)] 식적은 상한과 비슷하다[食積類傷寒] 713
[내상(內傷)] 음식으로 내상이 된 데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吐] 569
[내상(內傷)] 음식에 상한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下 760
[내상(內傷)] 도인법(導引法) 399
[내상(內傷)] 단방(單方) 572
[내상(內傷)] 침뜸치료[鍼炙法] 488
[허로(虛勞)] 허로병의 원인[虛勞病源] 1210
[허로(虛勞)] 허로증(虛勞證) 1089
[허로(虛勞)] 맥 보는 법[脈法] 805
[허로(虛勞)] 5로증(五勞證) 899
[허로(虛勞)] 6극증(六極證) 688
[허로(虛勞)] 7상증(七傷證) 728
[허로(虛勞)] 몸에는 양이 실하고 음은 부족하다[人身陽有餘陰不足] 947
[허로(虛勞)] 기허, 혈허, 양허, 음허의 감별[辨氣虛血虛陽虛陰虛] 1865
[허로(虛勞)] 허로 때의 치료법[虛勞治法] 1086
[허로(虛勞)]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3129
[허로(虛勞)] 음이 허하여 갑자기 기절한 것을 치료하는 법[陰虛暴絶治法] 782
[허로(虛勞)] 양이 허한 데 쓰는 약[陽虛用藥] 1293
[허로(虛勞)]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1 2580
[허로(虛勞)] 심이 허한 데 쓰는 약[心虛藥] 1328
[허로(虛勞)] 간이 허한 데 쓰는 약[肝虛藥] 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