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만(脹滿)

겉에 붙이는 치료법[外敷法]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652 추천 수 0
◎ 外敷法 ○ 治積聚脹滿血蠱等病宜外敷神膏及外敷藥

☞ 겉에 붙이는 치료법[外敷法]

 ○ 적취, 창만, 혈고 등을 치료하는 데는 외부신고와 겉에 붙이는 약을 쓴다. 

? 外敷神膏 ○ 大黃朴硝各四兩麝香一錢爲末每二兩和大蒜搗成膏敷患處[入門]
☞ 외신고(外敷神膏) ○ 대황, 박초 각각 160g, 사향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0g씩 마늘(대산)과 함께 넣고 짓찧어 고약을 만들어 병 있는 곳에 붙인다[입문]. 

? 外敷藥 ○ 治腹脹硬如石先用熱水嚼甘草嚥下次用大戟?花甘遂海藻等分爲末醋調遍塗腹上神效[得效]
☞ 겉에 붙이는 약[外敷藥] ○ 배가 불러 오르고 돌같이 단단한 것을 치료한다. ○ 먼저 감초를 씹어서 따끈한 물로 넘긴 다음 대극,원화, 감수, 해조@)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식초에 개어 배에 바르면 효과가 좋다[득효].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외부신고(外敷神膏)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9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93
[학질(?疾)] 해학(??) 1654
[학질(?疾)] 담학(痰?) 944
[학질(?疾)] 한학(寒?) 843
[황달(黃疸)] 음황(陰黃) 1229
[창만(脹滿)] 겉에 붙이는 치료법[外敷法] 652
[기침(咳嗽)] 해역 때 치료하기 쉬운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咳逆易治難治證] 828
[기침(咳嗽)] 해역을 치료하는 방법[咳逆治法] 1082
[기침(咳嗽)] 식적수(食積嗽) 1250
[기침(咳嗽)] 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구토(嘔吐)]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膈反胃宜通大便] 1092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1045
[곽란(?亂)]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1230
[허로(虛勞)] 양이 허한 데 쓰는 약[陽虛用藥] 1294
[내상(內傷)] 내상병 초기에 속이 열하나 나중에는 속이 차다[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 1389
[조(燥)] 조병에는 혈을 보하는 것이 좋다[燥宜養血] 1353
[습(濕)]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1809
[습(濕)] 한습(寒濕) 2013
[습(濕)] 풍습(風濕) 1279
[습(濕)] 중습(中濕) 1146
[한(寒)] 고랭(痼冷) 699
[한(寒)] 중한증(中寒證) 573
[한(寒)]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1606
[한(寒)]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766
[한(寒)]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862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50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