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만(脹滿)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不可治證]

한닥터 2011.09.28 조회 수 508 추천 수 0
◎ 可治不可治證 ○ 脹滿得之未久或脹或消腹皮稍軟不泄不喘隨治隨差若臍心突起利後腹脹急久病羸乏喘息不得安名曰脾腎俱敗不治[得效] ○ 腹脹身熱脈大是一逆也 ○ 腹鳴而滿四肢淸泄其脈大是二逆也 ○ 腹大脹四末淸脫形泄甚是三逆也 ○ 腹脹便血其脈大時絶是四逆也?不治[靈樞] ○ 腹滿咳逆不得小便不治 ○ 腹大滿而下泄不治[得效] ○ 脹滿或兼身熱或兼如?皆不可治[綱目] ○ 久病羸乏卒然脹滿喘息不得與夫臍心突起或下利頻頻未見一愈者耳[直指]

☞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不可治證]

 ○ 창만이 생긴 지 오래지 않고 혹 배가 불러 올랐다 내렸다 하며 뱃가죽이 약간 연약해지고 설사도 나지 않으며 숨도 차지 않는 것은 치료하면 낫는다. 배꼽이 도드라져 올라오고 설사한 뒤에도 배가 불러 오르는 것과 오랜 병으로 여위고 숨이 차서 편안치 않은 것은 다 비(脾)와 신(腎)이 상한 것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 배가 불러 오르고 몸에 열이 나며 맥이 대(大)한 것이 첫째 역(逆)증이다. ○ 배가 끓으면서 그득하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설사가 나고 맥이 대한 것이 둘째 역증이다. ○ 배가 몹시 불러 오르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몸이 여위고 설사가 몹시 나는 것이 셋째 역증이다. ○ 배가 불러 오르고 피똥이 나오며 맥이 대하면서 때로 끓어지는 것이 넷째 역증이다. 이상의 역증은 다 치료하기 어렵다[영추]. ○ 배가 그득하고 딸꾹질이 나며 소변을 누지 못하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 배가 몹시 그득하고 설사가 나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 창만 때 혹 열이 나거나 학질같이 앓는 것은 다 치료하기 어렵다[강목]. ○ 오랜 병으로 몸이 여위고 갑자기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져 숨이 차서 견디기 어렵고 배꼽이 도드라져 나오고 혹 설사를 자주 하는 것은 하나도 낫는 것을 보지 못하였다[직지].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과 비슷한 4가지증[傷寒相類四證] 357
[한(寒)] 상한의 16가지 이름[傷寒十六名] 419
[한(寒)] 상한에 5가지가 있다[傷寒有五種] 419
[한(寒)] 고랭(痼冷) 699
[한(寒)] 임신부의 상한[孕婦傷寒] 584
[한(寒)] 외감으로 속이 상하여 허증이 된 데는 보해야 한다[外感內傷虛證宜補] 433
[한(寒)] 외감에 내상을 겸한 증[外感挾內傷證] 980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한(寒)] 한궐로 갑자기 까무러친 것[寒厥暴亡] 478
[한(寒)] 중한증(中寒證) 573
[한(寒)] 상한에 삼가하고 꺼려야 할 것[傷寒戒忌] 401
[한(寒)] 상한에 대한 10가지 권고[傷寒十勸] 476
[한(寒)] 상한에 치료할 수 없는 증[傷寒不治證] 393
[한(寒)] 상한에 예후가 나쁜 증[傷寒凶證] 389
[한(寒)]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655
[한(寒)]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632
[한(寒)]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설사시켜야 한다[下後熱不退宜再下] 462
[한(寒)] 맥이 세게 뛰지 않으면 설사시키지 못한다[脈不鼓擊不可下] 418
[한(寒)] 빨리 설사시켜야 할 2가지 증[急下兩證] 378
[한(寒)]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1096
[한(寒)] 땀을 억지로 내면 수명을 단축한다[促汗夭壽] 436
[한(寒)]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735
[한(寒)] 망양증(亡陽證) 562
[한(寒)] 땀을 내는 법[發汗法] 422
[한(寒)] 땀을 내야 할 증과 땀을 내서는 안될 증[可汗不可汗證] 640
[한(寒)] 상한 때 토하게 할 수 있는 증[傷寒可吐證] 503
[한(寒)] 상한병이 나으려고 하는 것[傷寒欲解] 418
[한(寒)]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1606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2
[한(寒)] 호혹증(狐惑證)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