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갈(消渴)

소갈은 신화가 쇠약하여 생긴다[消渴由坎火衰少]

한닥터 2011.09.29 조회 수 718 추천 수 0
◎ 消渴由坎火衰少 ○ 肺爲五藏華盖若下有煖氣蒸則肺潤若下冷極則陽不能升故肺乾而湯易乾上坤下其卦爲否陽無陰不降陰無陽不升故成否也譬如釜中有水以火煖之又以板覆則煖氣上騰故板能潤若無火力則水氣不能上升此板終不得潤火力者腰腎强盛常須煖補腎氣飮食得火力則潤上而易消亦免乾渴之患宜服八味腎氣丸(卽八味元加五味子也)[本事]

☞ 소갈은 신화가 쇠약하여 생긴다[消渴由坎火衰少]

 ○ 폐(肺)는 5장(五臟)의 화개(華盖)이다. 만일 하초에 온기가 있어서 훈증(熏蒸)하면 폐가 윤기있게 된다. 그러나 하초가 몹시 차면 양기가 올라가지 못하므로 폐가 마르고 소갈이 생긴다. 『주역』에 "건(乾)이 위에 있고 곤(坤)이 아래에 있으면 그 괘는 비(否)가 된다"고 씌어 있다. 양(陽)은 음(陰)이 없으면 내려가지 못하고 음은 양이 없으면 올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비(否)가 생긴다. 이것을 비유해 말하면 다음과 같다. 가마에 물을 붓고 불을 때면서 뚜껑을 덮어두면 뜨거운 기운이 위로 올라가므로 뚜껑이 적셔지나 불기운이 없으면 물기가 오르지 못하여 뚜껑이 적셔지지 못하는 것과 같다. 화기(火氣)는 신기(腎氣)를 든든하게 한다. 신기는 반드시 더운 것으로 늘 보해야 한다. 음식은 화기를 만나야 상초를 적셔주며 소화가 잘 되고 또한 목이 말라 갈증이 나는 병도 생기지 않게 된다. 이런 데는 팔미신기환(八味腎氣丸, 팔미환에 오미자를 넣은 것이다)을 쓰는 것이 좋다[본사]. 
관련된 글
  1. 고방 처방집 팔미환 - 신기환 - 팔미신기환 八味丸方(崔氏)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과 비슷한 4가지증[傷寒相類四證] 357
[한(寒)] 상한의 16가지 이름[傷寒十六名] 419
[한(寒)] 상한에 5가지가 있다[傷寒有五種] 419
[한(寒)] 고랭(痼冷) 699
[한(寒)] 임신부의 상한[孕婦傷寒] 584
[한(寒)] 외감으로 속이 상하여 허증이 된 데는 보해야 한다[外感內傷虛證宜補] 433
[한(寒)] 외감에 내상을 겸한 증[外感挾內傷證] 980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한(寒)] 한궐로 갑자기 까무러친 것[寒厥暴亡] 478
[한(寒)] 중한증(中寒證) 573
[한(寒)] 상한에 삼가하고 꺼려야 할 것[傷寒戒忌] 401
[한(寒)] 상한에 대한 10가지 권고[傷寒十勸] 476
[한(寒)] 상한에 치료할 수 없는 증[傷寒不治證] 393
[한(寒)] 상한에 예후가 나쁜 증[傷寒凶證] 389
[한(寒)]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655
[한(寒)]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632
[한(寒)] 설사시킨 뒤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다시 설사시켜야 한다[下後熱不退宜再下] 462
[한(寒)] 맥이 세게 뛰지 않으면 설사시키지 못한다[脈不鼓擊不可下] 416
[한(寒)] 빨리 설사시켜야 할 2가지 증[急下兩證] 378
[한(寒)]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1096
[한(寒)] 땀을 억지로 내면 수명을 단축한다[促汗夭壽] 436
[한(寒)]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735
[한(寒)] 망양증(亡陽證) 562
[한(寒)] 땀을 내는 법[發汗法] 422
[한(寒)] 땀을 내야 할 증과 땀을 내서는 안될 증[可汗不可汗證] 640
[한(寒)] 상한 때 토하게 할 수 있는 증[傷寒可吐證] 503
[한(寒)] 상한병이 나으려고 하는 것[傷寒欲解] 418
[한(寒)]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1606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1
[한(寒)] 호혹증(狐惑證)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