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달(黃疸)

황달(黃疸) 치료법

한닥터 2011.09.29 조회 수 1076 추천 수 0
◎ 黃疸 ○ 宜茵蔯五?散茵蔯三物湯陶氏茵蔯湯加減胃?湯茵蔯散

☞ 황달(黃疸) 치료법

 ○ 인진오령산, 인진삼물탕, 도씨인진탕, 가감위령탕, 인진산을 쓴다. 

? 茵蔯五?散 ○ 治濕熱黃疸茵蔯一兩五?散五錢右爲末每二錢米飮調下 ○ 或?一兩水煎服亦可[入門]
☞ 인진오령산(茵蔯五?散) ○ 습열로 생긴 황달을 치료한다. ○ 인진@) 40g, 오령산(五?散)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 ○ 혹 썰어서 40g을 물에 달여 먹어도 좋다[입문]. 

? 茵蔯三物湯 ○ 治黃疸小便不利茵蔯三錢梔子黃連各二錢右?作一貼水煎服之[入門]
☞ 인진삼물탕(茵蔯三物湯) ○ 황달 때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인진@) 12g, 치자, 황련 각각 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陶氏茵蔯湯 ○ 治黃疸熱盛大便不利茵蔯二錢大黃梔子仁厚朴枳實黃芩甘草各一錢右?作一貼薑二片燈心一握水煎服小便不利合五?散服[入門]
☞ 도씨인진탕(陶氏茵蔯湯) ○ 황달 때 열이 성하여 대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인진@) 8g, 대황, 치자, 후박, 지실, 황금,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2쪽, 등심 2g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는 오령산을 섞어서 쓴다[입문]. 

? 加減胃?湯 ○ 治黃疸飮食無味行步倦怠脈?而濡胃?湯(方見大便)去桂加藿香半夏大腹皮山?子蘿?子三稜蓬朮靑皮各五分右?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醫鑑]
☞ 가감위령탕(加減胃?湯) ○ 황달로 음식맛이 없고 걸을 때 몸이 나른하며 맥이 색(?)하면서 유(濡)한 것을 치료한다. ○ 위령탕(胃?湯,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약재에서 계지를 빼고 곽향, 반하, 대복피, 산사(산사자), 나복자, 삼릉, 봉출, 청피(靑皮) 각각 2g을 넣어서 쓴다.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 茵蔯散 ○ 治濕熱黃疸茵蔯梔子赤茯?猪?澤瀉蒼朮枳實黃連厚朴滑石各一錢右?作一貼燈心一握同煎服[回春]
☞ 인진산(茵蔯散) ○ 습열로 생긴 황달을 치료한다. ○ 인진,치자, 적복령, 저령, 택사, 창출, 지실, 황련, 후박, 활석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등심 2g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인진오령산 茵陳五笭散 by 한닥터
  2. 방약합편 HK002 加減胃?湯(가감위령탕) by 한닥터
  3. 방약합편 HH101 加減胃?湯(가감위령탕)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부종치료에 두루 쓰는 약[浮腫通治藥]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by 한닥터
  6. 태암 처방집 茵陳五?散(인진오령산) 肝臟炎(간장염)으로 黃疸(황달) by 한닥터
  7. 방약합편 240. 茵蔯五?散(인진오령산)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인진산(茵蔯散)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가감위령탕(加減胃 湯)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도씨인진탕(陶氏茵蔯湯)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인진삼물탕(茵蔯三物湯)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인진오령산(茵蔯五 散)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가감위령탕(加減胃 湯) by 한닥터
  14. 회원임상례 한습형 체질 태음인 처방 - 등업용 by 스마일 *1
  15. 임상 경험방 황달 - 가감위령탕 - 홍설후 by 한닥터
  16. 임상 경험방 황달 - 가감위령탕 by 한닥터
  17. 청강의감 加減胃?湯(가감위령탕) by 한닥터
  18. 고방 처방집 인진오령산 茵蔯五?散方 by 한닥터
  19. 방약합편 49 가감위령탕(加減胃?湯) by 한닥터
  20. 방약합편 48 인진오령산(茵蔯五?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5
[오줌(小便)]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小便不禁] 2465
[귀(耳)] 귀울이[耳鳴] 2155
[오줌(小便)] 적탁과 백탁[赤白濁] 1987
[습(濕)]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1809
[오줌(小便)]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通] 1744
[학질(?疾)]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1623
[구토(嘔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1584
[혈(血)] 피오줌[尿血] 1487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50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을 치료하는 법[膀胱病治法] 1428
[소아(小兒)]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1284
[곽란(?亂)] 습곽란을 치료하는 방법[濕?亂治法] 1230
[화(火)] 하초열(下焦熱) 1193
[대변(大便)] 여러 가지 설사증[泄瀉諸證] 1180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전음(前陰)] 한산에 쓰는 약[寒疝藥] 1157
[습(濕)] 중습(中濕) 1146
[대변(大便)]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1117
[한(寒)] 태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太陽形證用藥] 1096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황달(黃疸)] 황달(黃疸) 치료법 1076
[습(濕)] 습온(濕溫) 1040
[가슴(胸)] 신심통(腎心痛) 1033
[가슴(胸)] 음심통(飮心痛) 1017
[전음(前陰)] 음낭이 붓는 것[陰腫] 1016
[대변(大便)]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1005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3
[귀(耳)]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930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생기는 번갈[?亂後煩渴] 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