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달(黃疸)

주달(酒疸) 치료법

한닥터 2011.09.29 조회 수 704 추천 수 0
◎ 酒疸 ○ 宜半溫半熱湯梔子大黃湯葛朮湯酒蒸黃連元(方見暑門)酒後犯房成疸宜辰砂妙香散(方見神門)

☞ 주달(酒疸) 치료법

 ○ 반온반열탕, 치자대황탕, 갈출탕, 주증황련원(酒蒸黃連元, 처방은 서문(暑門)에 있다)을 쓴다. 술을 마시고 성생활을 하여 황달이 생긴 데는 진사묘향산(辰砂妙香散, 처방은 신문(神門)에 있다)을 쓴다. 

? 半溫半熱湯 ○ 治酒疸半夏赤茯?白朮各一錢前胡枳殼大戟甘草各七分黃芩當歸茵蔯各五分右?作一貼薑三片水煎服[活人]
☞ 반온반열탕(半溫半熱湯) ○ 주달을 치료한다. ○ 반하, 적복령, 백출 각각 4g, 전호, 지각, 대극,감초 각각 2.8g, 황금, 당귀, 인진@)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활인]. 

? 梔子大黃湯 ○ 治酒疸梔子大黃各二錢枳實一錢?一合右?作一貼水煎服[仲景]
☞ 치자대황탕(梔子大黃湯) ○ 주달을 치료한다. ○ 치자, 대황 각각 8g, 지실 4g, 약전국 1홉.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중경]. 

? 葛朮湯 ○ 治酒疸葛根蒼朮各二錢枳實梔子甘草各一錢豆?一合右?作一貼水煎服[濟生]
☞ 갈출탕(葛朮湯) ○ 주달을 치료한다. ○ 갈근, 창출 각각 8g, 지실, 치자, 감초 각각 4g, 약전국(豆?) 1홉.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 當歸白朮湯 ○ 治酒疸有飮癖心胸堅滿不進飮食小便黃赤赤茯?一錢半蒼朮枳實杏仁前胡葛根甘草各一錢半夏七分半當歸黃芩茵蔯各五分右?作一貼薑三水煎服[三因]
☞ 당귀백출탕(當歸白朮湯) ○ 주달과 음벽(飮癖)이 있어서 가슴이 몹시 그득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고 소변이 누르면서 벌건 것을 치료한다. ○ 적복령 6g, 창출, 지실, 행인, 전호, 갈근, 감초 각각 4g, 반하 3g, 당귀, 황금, 인진@)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 
관련된 글
  1. 기본방 모음 치자대황탕 梔子大黃湯方 by 한닥터
  2. 동의보감 계심통(悸心痛)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적탁과 백탁[赤白濁]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신병에 두루 쓰는 약[神病通治藥餌] by 한닥터
  5. 동의보감 경계증[驚悸]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갈출탕(葛朮湯)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치자대황탕(梔子大黃湯)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반온반열탕(半溫半熱湯)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진사묘향산(辰砂妙香散) by 한닥터
  10. 고방 처방집 치자대황탕 梔子大黃湯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생기는 허번[?亂後虛煩] 704
[곽란(?亂)] 곽란 때 토하게 하는 방법[?亂吐法] 759
[곽란(?亂)] 곽란 때에 찜질하는 방법[?亂?法] 518
[곽란(?亂)] 곽란 때에 침을 놓는 방법[?亂鍼法] 595
[곽란(?亂)] 곽란 때에 뜸을 뜨는 방법[?亂炙法] 602
[곽란(?亂)] 꺼릴 것[禁忌法] 541
[곽란(?亂)] 치료할 수 없는 증상[不治證] 553
[곽란(?亂)] 배멀미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水疾吐瀉] 760
[곽란(?亂)] 단방(單方) 581
[구토(嘔吐)] 구토의 원인[嘔吐之因] 702
[구토(嘔吐)] 맥 보는 법[脈法] 586
[구토(嘔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1584
[구토(嘔吐)] 오심과 헛구역[惡心乾嘔] 1327
[구토(嘔吐)] 식비로 먹은 것을 토하는 것[食痺吐食] 845
[구토(嘔吐)] 토하는 병에는 3가지가 있다[吐病有三] 1330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의 원인[?膈反胃病因] 975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구토(嘔吐)]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膈反胃宜通大便] 1092
[구토(嘔吐)] 치료하기 어렵거나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562
[구토(嘔吐)] 단방(單方) 685
[구토(嘔吐)] 침뜸치료[鍼炙法] 736
[기침(咳嗽)] 기침병의 원인[咳嗽病因] 796
[기침(咳嗽)] 맥 보는 법[脈法] 682
[기침(咳嗽)] 기침은 폐와 관련된다고 하나 장부와 연관되는 것도 있으므로 각기 다르다[咳嗽雖屬肺亦有臟腑之異] 699
[기침(咳嗽)]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기침(咳嗽)]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1270
[기침(咳嗽)] 기침의 여러 가지 증상[咳嗽諸證] 759
[기침(咳嗽)] 풍수(風嗽) 911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9
[기침(咳嗽)] 열수(熱嗽) 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