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달(黃疸)

황한(黃汗) 치료법

한닥터 2011.09.29 조회 수 731 추천 수 0
◎ 黃汗 ○ 宜?陳湯桂枝黃?湯

☞ 황한(黃汗) 치료법

 ○ 기진탕, 계지황기탕을 쓴다. 

? ?蔯湯 ○ 治黃汗石膏二錢黃?赤芍藥茵蔯麥門冬豆?各一錢甘草五分右?作一貼入薑五片水煎服[入門] ○ 一名黃?散[丹心]
☞ 기진탕(?蔯湯) ○ 황한을 치료한다. ○ 석고 8g, 황기, 적작약, 인진,맥문동, 약전국(두시) 각각 4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일명 황기산(黃?散)이라고도 한다[단심]. 

? 桂枝黃?湯 ○ 治黃汗黃?二錢半桂枝芍藥各一錢半甘草一錢右?作一貼好酒三合水一盞半煎服[得效] ○ 一名黃?桂枝湯[仲景] ○ 又名桂枝苦酒湯[入門]
☞ 계지황기탕(桂枝黃?湯) ○ 황한을 치료한다. ○ 황기 10g, 계지, 백작약 각각 6g, 감초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좋은 술 3홉, 물 1잔 반을 넣어서 달여 먹는다[득효]. ○ 일명 황기계지탕(黃?桂枝湯)이라고도 한다[중경]. ○ 또는 계지고주탕(桂枝苦酒湯)이라고도 한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계지황기탕(桂枝黃 湯)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기진탕( 蔯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양명실증 때에는 설사시켜야 한다[陽明實證宜下] 586
[해독(解毒)] 행인중독[杏仁毒] 586
[물(水部)] 반천하수(半天河水) 586
[새(禽部)] 오자계육(烏雌鷄肉) 586
[짐승(獸部)] 용골(龍骨) 용치(龍齒) 자소화(紫梢花) 586
[물고기(魚部)] 노어(?魚, 농어) 586
[배(腹)] 침뜸치료[鍼灸法]/배 585
[후음(後陰)] 여러 가지 치질의 이름[諸痔名目] 585
[학질(?疾)] 학질이 장차 낫겠는가를 알 수 있는 것[知?將差] 585
[한(寒)] 임신부의 상한[孕婦傷寒] 584
[창만(脹滿)] 창만 때 설사가 나는 것[脹滿泄瀉] 584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맥(脈)] 손가락을 대는 법[下指法] 583
[심병(審病)] 병을 진찰하는 묘한 방법[察病玄機] 583
[소갈(消渴)] 충갈(蟲渴) 583
[침구(針灸)]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582
[입과 혀(口舌)] 침뜸치료[鍼灸法]/입과 혀 582
[내상(內傷)] 생각을 지나치게 하여 기가 몰려 먹지 못하는 것[思結不食] 582
[학질(?疾)] 오한과 열이 나는 선후차[寒熱先後] 582
[제창(諸瘡)] 단방(單方) 582
[담음(痰飮)] 담병 때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痰病難治證] 581
[충(蟲)] 노채인가를 시험해 보는 방법[驗?法] 581
[맥(脈)] '맥'자에는 의미가 있다[脈字有義] 581
[용약(用藥)] 병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본을 치료해야 한다[治病必求於本] 581
[곽란(?亂)] 단방(單方) 581
[해독(解毒)] 오이나 과실에 중독된 것[苽果毒] 581
[소아(小兒)] 머리털이 나지 않고 이가 나오지 않는 것[髮不生齒不生] 581
[목(頸項)] 목의 치수[頸項寸數] 580
[풍(風)] 단방(單方)/풍 580
[제창(諸瘡)] 침치료[鍼法] 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