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질(?疾)

학질로 오한이 났다 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병의 뿌리가 있기 때문이다[?寒熱不歇有根]

한닥터 2011.09.29 조회 수 551 추천 수 0
◎ ?寒熱不歇有根 ○ ?之寒熱不歇者有根在也根者何曰飮曰水曰敗血是爾惟癖爲?之母惟敗血爲暑熱之毒惟飮與水皆生寒熱故治法挾水飮者爲之逐水消飮結癖者脇必痛爲之攻癖敗血暑毒隧證而疎利之則寒熱自除矣 ○ 凡?皆因停蓄黃水或於脇間結癖惟癖爲能生寒熱若取下毒水去其病根則寒熱自解所以?劑多用常山盖水在上則吐之水在中下則亦能破其癖而下其水故也[直指]

☞ 학질로 오한이 났다 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병의 뿌리가 있기 때문이다[?寒熱不歇有根]

 ○ 학질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병의 뿌리가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뿌리란 무엇인가. 그것은 음(飮)과 수(水)와 궂은 피[敗血]이다. 벽(癖)은 학모로 생기고 궂은 피[敗血]는 더위독[暑熱之毒]으로 생긴다. 음과 수는 다 오한과 열이 나게 한다. 때문에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수와 음이 같이 있으면 수를 몰아내고 음을 삭게 해야 한다. 벽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옆구리가 아픈데 이때에는 벽을 없어지게 해야 한다. 더위독으로 생긴 궂은 피[敗血]가 있을 때에는 증상에 따라 잘 나가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오한이나 열이 나던 것이 저절로 없어진다. ○ 모든 학질 때 누런 물이 차거나 옆구리에 벽이 생기면 그것으로 인하여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한다. 그러나 그 독물을 빼내면 병뿌리가 없어지면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저절로 없어진다. 때문에 학질을 치료하는 데는 흔히 상산(常山)을 쓴다. 그것은 상산이 물이 상초(上焦)에 있으면 토하게 하고 중초(中焦)나 하초(下焦)에 있으면 벽을 헤쳐서 물을 잘 나가게 하기 때문이다[직지].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부인(婦人)] 울모(鬱冒) 554
[물(水部)] 요수(?水, 산골에 고인 빗물을 말한다.) 554
[눈(眼)] 천행적목(天行赤目) 553
[입과 혀(口舌)] 침을 흘리는 것[口流涎] 553
[후음(後陰)] 치라는 것은 내밀었다는 뜻이다[痔者峙也] 553
[토[吐]] 토하게 하는 방법[取吐法] 553
[곽란(?亂)] 치료할 수 없는 증상[不治證] 553
[제상(諸傷)] 미친개 독을 없애는 방법[狂犬傷出毒法] 553
[소아(小兒)] 피를 많이 흘리는 것[失血] 553
[새(禽部)] 자아(慈鴉, 갈까마귀) 553
[풀(草部)] 백질려(白?藜, 남가새열매) 552
[충(蟲)] 9가지 충[九蟲] 552
[제상(諸傷)] 여러 가지 색깔이 나는 벌레한테 상한 것[雜色蟲傷] 552
[새(禽部)] 연작(練鵲, 대까치) 552
[충(蟲)] 치루에 충이 있다[痔瘻有蟲] 551
[이빨(牙齒)] 이빨은 이름이 각기 다르다[牙齒異名] 551
[학질(?疾)] 학질로 오한이 났다 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병의 뿌리가 있기 때문이다[?寒熱不歇有根] 551
[괴질(怪疾)] 새우 같은 것이 생기는 것[化生鰕魚] 551
[부인(婦人)] 방예하는 법[禳法] 551
[채소(菜部)] 자소(紫蘇, 차조기) 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 자소경(紫蘇莖, 차조기 줄기) 551
[풀(草部)] 왕불류행(王不留行, 장구채) 550
[눈(眼)] 양검점정(兩瞼粘睛) 550
[근(筋)] 근위(筋?) 550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을 두루 치료하는 약[諸疳通治藥] 550
[침구(針灸)] 수태양소장경의 순행[手太陽小腸經流注] 549
[창만(脹滿)] 맥 보는 법[脈法] 549
[탕액서례(湯液序例)]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549
[과실(果部)]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행실(杏實, 살구열매) 549
[근(筋)] 무릎은 힘줄이 모이는 곳이다[膝爲筋府] 548
[전음(前陰)] 한산(寒疝) 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