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질(?疾)

방예하는 법[禳法]

한닥터 2011.09.29 조회 수 601 추천 수 0
◎ 禳法 ○ 宜用神仙碧霞丹斷?如聖丸治一切?[諸方]

☞ 방예하는 법[禳法]
㈜ [註] 방예하는 법은 옛날 병이나 나쁜 신수 등을 비과학적 방법으로 예방한다는 것인데 여기에 씌어진 처방들과 쓰는 법들은 과학성과 현실성이 없는 것들이다.

○ 신선벽하단(神仙碧霞丹), 단학여성환(斷?如聖丸)을 쓰는데 일체 학질을 치료한다. 

? 神仙碧霞丹 ○ 東方巴豆去皮油?硏 ○ 南方官桂?末 ○ 中央雄黃?硏 ○ 西方白礬?硏 ○ 北方靑黛?硏 ○ 右各三錢五月五日早朝修治各盛盤依方排定勿令猫犬婦人見之至其日午時取五家?尖和勻丸如榛子大令患者綿?一丸當發日早朝塞於男左女右鼻中仍淸靜將息勿雜飮食[類聚]
☞ 신선벽하단(神仙碧霞丹) ○ 동방, 파두(껍질을 버리고 기름을 뺀 다음 따로 간 것), 남방, 육계(따로 간 것), 중앙, 웅황(따로 간 것), 서방, 백반(따로 간 것), 북방, 청대(따로 간 것). ○ 위의 약들을 각각 12g씩 음력 5월 5일 이른 아침에 법제하여 각기 그릇에 처방 순서대로 가지런히 담아서 놓아 둔다. 고양이, 개가 가까이 오지 못하게 하고 부인이 보지 못하게 해야 한다. 그 다음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경에 다섯 집에서 만든 떡에 반죽하여 개암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솜에 싸서 발작하는 날 이른 아침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콧구멍을 막는다. 그 다음 마음을 안정하고 가만히 있어야 하며 잡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유취]. 

? 斷?如聖丸 ○ 信砒二錢大蜘蛛三箇雄黑豆四十九粒右爲末滴水和丸如?實大如來日發令夜北斗下先獻過次早以綿?一丸於男左女右耳內塞之立愈如神一丸可救二人[河間]
☞ 단학여성환(斷?如聖丸) ○ 신비 8g, 말거미(지주) 3개, 검정콩(흑두) 49알.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하여 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만일 내일이 발작할 날이면 오늘 저녁에 북두칠성을 향하여 제사 지내고 다음날 일찍 1알을 속에 싸서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귀를 막으면 낫는다. 1알이면 두 사람을 낫게 할 수 있다[하간].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단학여성환(斷 如聖丸)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신선벽하단(神仙碧霞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벌레(蟲部)] 해(蟹, 게) 602
[채소(菜部)] 파릉(??, 시금치) 602
[풀(草部)] 과루근(瓜蔞根, 하늘타리뿌리) 과루실(瓜蔞實, 하늘타리) 과루인(瓜蔞仁, 하늘타리씨) 과루분(瓜蔞粉, 하늘타리뿌리 가루) 601
[눈(眼)] 산예(散翳) 601
[눈(眼)] 단방(單方)/눈 601
[귀(耳)] 맥 보는 법[脈法]/귀 601
[학질(?疾)] 방예하는 법[禳法] 601
[잡방(雜方)] 침을 삼키거나 물을 마시는 방법[嚥津服水法] 601
[소아(小兒)] 경휵(驚?)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채소(菜部)] 고채(苦菜, 씀바귀) 601
[언어(言語)] 부인이 몸풀기 전에 말을 못하는 증과 몸푼 뒤에 말을 못하는 증[婦人産前不語産後不語] 600
[한(寒)] 음양역증(陰陽易證) 600
[온역(瘟疫)] 온역의 원인[瘟疫之因] 600
[풀(草部)] 모근(茅根, 띠뿌리) 모화(茅花, 띠꽃) 모침(茅鍼, 띠가시) 599
[살(肉)] 살은 비위에 속한다[肉屬脾胃] 599
[후음(後陰)] 항문을 달리 부르는 이름[肛門別名] 599
[소아(小兒)] 적과 벽[積癖] 599
[골(骨)] 뼈에 생긴 병이 겉에 나타나는 증후[骨病外證] 598
[손(手)] 단방(單方)/팔 598
[서(暑)] 서란 상화가 작용하는 것이다[暑者相火行令也] 598
[사수(邪崇)] 시주병을 알아내는 방법[驗尸?法] 598
[소아(小兒)]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598
[언어(言語)] 우는 것[哭] 597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눈(眼)] 태풍적란(胎風赤爛) 597
[한(寒)] 상한의 주된 병 형태[傷寒大法] 597
[기침(咳嗽)] 침뜸치료[鍼炙法] 597
[부인(婦人)] 갑자기 유산하는 것[卒墮胎] 597
[인부(人部)] 인중황(人中黃) 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