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질(?疾)

침뜸치료[鍼灸法]

한닥터 2011.09.29 조회 수 485 추천 수 0
◎ 鍼灸法 ○ ?之且發也陰陽之且移也必從四末始也陽已傷陰從之故先其時堅束其處審候見之在孫絡盛堅而血者皆取之[內經] ○ 謂用三稜鍼視孫絡出血也[正傳] ○ 凡?必先問其病之所先發者先刺之 ○ 久?不愈大#先鍼後灸三七壯或云第三骨節 ○ 諸?而脈不見刺十指間出血血去必已先視身之赤如小豆者盡取之 ○ 凡?取間使爲妙 ○ ?脈緩大虛便宜用藥不宜用鍼[綱目]

☞ 침뜸치료[鍼灸法]

 ○ 학질이 다시 발작하려고 하고 음양이 옮겨 가려고 할 때에는 반드시 팔다리에서부터 시작된다. 양이 이미 상하였으면 음이 따르기 때문에 발작하기 전에 먼저 단단히 억제한 다음 증상을 보아 손락(孫絡)에 몰린 피를 빼내야 한다[내경]. 
○ 손락(孫絡)을 보고 삼릉침(三稜鍼)으로 피를 빼야 한다[정전]. 
○ 모든 학질 때에는 반드시 먼저 병이 처음 발작한 경력을 알아보고 침을 놓아야 한다. 
○ 오랜 학질이 낫지 않을 때에는 먼저 대추혈(大椎穴)에 침을 놓은 다음 뜸 21장을 떠야 한다. 혹은 세번째 등뼈마디 위에 뜨기도 한다. 
○ 모든 학질 때 맥이 잘 나타나지 않으면 열 손가락 사이를 찔러서 나오는 피를 다 빼면 반드시 낫는다. 먼저 몸에 붉은 팥알 같은 것이 있는가를 보고 피를 빼야 한다. 
○ 모든 학질에는 간사혈에 놓는 것이 좋다. 
○ 학질 때 맥이 완대(緩大)하면서 허(虛)하면 약만 쓰고 침을 놓지 않는 것이 좋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691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소아(小兒)]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637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659
[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431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609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소아(小兒)] 방예하는 법[禳法] 614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523
[소아(小兒)]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