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역(瘟疫)

온역의 형태와 증상[瘟疫形證]

한닥터 2011.09.30 조회 수 613 추천 수 0
◎ 瘟疫形證 ○ 冬合寒反暖春發溫疫其證發熱腰痛强急脚縮不伸?中欲折目中生花或??增寒復熱 ○ 春合暖反凉夏發燥疫其證身體戰掉不能自禁或內熱口乾舌破咽塞聲斯 ○ 夏合熱反寒秋發寒疫其證頭重頸直皮肉强痺或蘊而結核起於咽喉頸項之側布熱毒於皮膚分肉之中 ○ 秋合凉反陰雨冬發濕疫其證乍寒乍熱損傷肺氣暴嗽嘔逆或體熱發斑喘咳引氣[三因] ○ 感四時不正之氣使人痰涎壅盛煩熱頭疼身痛增寒壯熱項强睛疼或飮食如常起居依舊甚至聲啞或赤眼口瘡大小?腫喉痺咳嗽稠粘噴?[醫鑑]

☞ 온역의 형태와 증상[瘟疫形證]

 ○ 겨울 날씨는 추워야 하나 도리어 따뜻하면 봄에 가서 온역이 생긴다. 그 증상은 열이 나고 허리가 아프고 몹시 뻣뻣하며 다리가 오그라들어 펴지 못하고 정강이가 끊어지는 것 같으며 눈앞에 꽃 같은 것이 보이고 오싹오싹 추우며 열이 난다. ○ 봄 날씨는 따뜻해야 하나 도리어 서늘하면 여름에 가서 조역(燥疫)이 생긴다. 그 증상은 참을 수 없이 떨리고 혹은 속에서 열이 나며 입이 마르고 혀가 터지며 목구멍이 막히고 목이 쉰다. ○ 여름 날씨는 더워야 하나 도리어 차면 가을에 가서 한역(寒疫)이 생긴다. 그 증상은 머리가 무겁고 목이 곧아지며 피부와 살이 뻣뻣하고 저리거나 혹은 온역의 사기가 몰려서 목구멍이나 목겉에 멍울이 생기고 그 열독(熱毒)은 피부와 분육(分肉) 사이로 퍼진다. ○ 가을 날씨는 서늘해야 하나 도리어 흐리거나 비가 많이 내리면 겨울에 습역(濕疫)이 생긴다. 그 증상은 잠깐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폐기가 손상되어 몹시 기침하고 구역하며 혹 몸에 열이 나고 반진이 나오며 숨이 차고 딸꾹질한다[삼인]. ○ 사철 정상이 아닌 기후에 감촉되면 담연(痰涎)이 몹시 성하고 번열이 나며 머리와 몸이 아프고 오한이 나며 열이 몹시 나고 목덜미가 뻣뻣하고 눈알이 아프다. 그러나 음식은 제대로 먹고 일상생활은 전과 같이한다. 심하면 목소리가 나오지 않고 눈에 피가 지며 입안이 헐고 뺨이 부으며 후비증(喉痺證)이 생기고 기침이 나며 걸쭉한 가래가 나오며 재채기를 한다[의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생기는 허번[?亂後虛煩] 704
[곽란(?亂)] 곽란 때 토하게 하는 방법[?亂吐法] 759
[곽란(?亂)] 곽란 때에 찜질하는 방법[?亂?法] 518
[곽란(?亂)] 곽란 때에 침을 놓는 방법[?亂鍼法] 595
[곽란(?亂)] 곽란 때에 뜸을 뜨는 방법[?亂炙法] 602
[곽란(?亂)] 꺼릴 것[禁忌法] 541
[곽란(?亂)] 치료할 수 없는 증상[不治證] 553
[곽란(?亂)] 배멀미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水疾吐瀉] 760
[곽란(?亂)] 단방(單方) 581
[구토(嘔吐)] 구토의 원인[嘔吐之因] 702
[구토(嘔吐)] 맥 보는 법[脈法] 587
[구토(嘔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1584
[구토(嘔吐)] 오심과 헛구역[惡心乾嘔] 1327
[구토(嘔吐)] 식비로 먹은 것을 토하는 것[食痺吐食] 845
[구토(嘔吐)] 토하는 병에는 3가지가 있다[吐病有三] 1330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의 원인[?膈反胃病因] 975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구토(嘔吐)]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膈反胃宜通大便] 1092
[구토(嘔吐)] 치료하기 어렵거나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562
[구토(嘔吐)] 단방(單方) 685
[구토(嘔吐)] 침뜸치료[鍼炙法] 736
[기침(咳嗽)] 기침병의 원인[咳嗽病因] 796
[기침(咳嗽)] 맥 보는 법[脈法] 682
[기침(咳嗽)] 기침은 폐와 관련된다고 하나 장부와 연관되는 것도 있으므로 각기 다르다[咳嗽雖屬肺亦有臟腑之異] 700
[기침(咳嗽)]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기침(咳嗽)]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1270
[기침(咳嗽)] 기침의 여러 가지 증상[咳嗽諸證] 759
[기침(咳嗽)] 풍수(風嗽) 911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9
[기침(咳嗽)] 열수(熱嗽) 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