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역(瘟疫)

단방(單方)

한닥터 2011.09.30 조회 수 470 추천 수 0
◎ 單方 ○ 凡二十九種
☞ 단방(單方) ○ 모두 29가지이다. 

? 朱砂 ○ ?瘟疫取一兩細硏以白蜜和丸如麻子大正朝早晨一家大小勿食諸物面向東立水呑三七丸永求無疫[本草]
☞ 주사(朱砂) ○ 온역을 미리 막는다. 주사 40g을 부드럽게 갈아 봉밀에 반죽하여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7알씩 온 가족이 음력 정월 초하룻날 새벽 빈속에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 ?蚓汁 ○ 主天行熱疾取生地龍塗鹽化成水取飮之[本草]
☞ 구인즙(?蚓汁, 지렁이즙) ○ 돌림열병을 주로 치료한다. 지룡(산 것)에 소금을 뿌려두면 물이 되는데 그 물을 마신다[본초]. 

? 藍葉汁 ○ 主天行熱狂取葉搗取汁飮一盞[本草]
☞ 남엽즙(藍葉汁, 쪽잎즙) ○ 돌림병으로 열이 나고 미친 데 주로 쓴다. 잎을 짓찧어 즙을 내어 1잔씩 마신다[본초]. 

? 臘雪水 ○ 治天行瘟疫熱盛取飮之[本草]
☞ 납설수(臘雪水) ○ 돌림온역으로 열이 몹시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그 물을 마신다[본초]. 

? 生葛根汁 ○ 治天行瘟疫熱疾取根搗取汁飮之[本草]
☞ 생갈근즙(生葛根汁) ○ 돌림온역과 열병을 치료하는데 뿌리를 캐서 즙을 내어 마신다[본초]. 

? 苦參 ○ 治天行壯熱取一兩?醋煮飮之當吐卽愈[本草]
☞ 고삼(苦參, 너삼) ○ 돌림병으로 열이 몹시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40g을 썰어서 식초에 달여 먹으면 곧 토하고 낫는다[본초]. 

? 水中細苔 ○ 主天行熱悶搗絞取汁飮之[本草]
☞ 수중세태(水中細苔, 물 속의 부드러운 이끼) ○ 돌림열병으로 답답할 때에 짓찧어 즙을 내어 마신다[본초]. 

? 靑黛 ○ 治大頭瘟頭面赤腫眞?花三錢燒酒一鍾鷄子淸一箇打勻吃下腫卽消眞神方也[回春]
☞ 청대(靑黛) ○ 대두온(大頭瘟)으로 머리와 얼굴이 벌겋게 붓는 것을 치료한다. 좋은 청대 12g, 소주 1종지, 달걀 흰자위 1알분을 고루 섞어서 먹으면 부은 것이 곧 내리는데 참으로 좋은 약이다[회춘]. 

? 蛇? ○ 治天行熱盛口中生瘡蛇?自然汁搗絞取一斗煎取五升稍稍飮之[本草]
☞ 사매(蛇?, 뱀딸기) ○ 돌림병으로 열이 몹시 나고 입이 허는 것을 치료한다. 뱀딸기즙 1말을 절반이 되게 달여 조금씩 마신다[본초]. 

? 竹瀝 ○ 治時氣瘟疫熱盛煩躁竹瀝半盞新水半盞和服之[本草]
☞ 죽력(竹瀝) ○ 돌림온역으로 열이 몹시 나고 번조한 것을 치료한다. 죽력 반 잔에 새로 길어온 물 반 잔을 타서 먹는다[본초]. 

? 蒼朮 ○ ?瘟疫邪濕氣蒼朮合?莢中庭燒之[本草]
☞ 창출(蒼朮) ○ 온역과 습사를 없앤다. 창출과 조협(조각)을 마당 가운데서 태운다[본초]. 

? 生藕汁 ○ 治熱病煩渴藕汁一盞入蜜一合服之[本草]
☞ 생우즙(生藕汁, 생연뿌리즙) ○ 열병으로 번갈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생연뿌리즙 1잔에 봉밀 1홉을 타서 마신다[본초]. 

? 臘月鼠 ○ 燒之?惡氣又於正旦所居處埋之?瘟疫氣[本草]
☞ 납월서(臘月鼠) ○ 태우면 나쁜 기운이 없어진다.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 거처하고 있는 곳에 묻으면 온역기운이 없어진다[본초]. 

? 蟾? ○ 食之不患熱病生搗絞汁服或燒爲末和水服?主瘟病發斑[本草]
☞ 섬여(蟾?, 두꺼비) ○ 열병이 생기지 않게 한다. 생것을 짓찧어 즙을 내서 먹거나 태워 가루내어 물에 타 먹는데 온역으로 반진이 생긴 것도 치료한다[본초]. 

? 桃葉 ○ 主天行病汗不出桃葉多取濃煎湯置床下坐其上衣被盖之須臾當汗便差又取桃枝?煮湯洗浴[本草]
☞ 도엽(桃葉, 복숭아나무잎) ○ 돌림병 때에 땀이 나오지 않는 데 주로 쓴다. 복숭아나무잎을 많이 따서 달여 침대 밑에 두고 그 위에 누워 이불을 덮고 땀을 내면 곧 낫는다. 복숭아나무가지를 썰어서 달인 물에 목욕을 해도 된다[본초]. 

? ?白 ○ 治天行時疾頭痛熱狂濃煎?白湯飮之[本草]
☞ 총백(?白, 파밑) ○ 돌림병으로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며 미친 것을 치료하는데 진하게 달여 먹는다[본초]. 

? 赤小豆 ○ ?瘟疫病取赤小豆新布囊盛之正旦置井中三日出之擧家服男十枚女二十枚無不效[本草]
☞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 온역을 미리 막는다. 붉은팥을 새 베주머니에 넣어 음력 정월 초하룻날 우물물 속에 담가두었다가 3일 만에 꺼내어 남자는 10알, 여자는 20알씩 먹는데 온 가족이 다 써야 효과가 있다[본초]. 

? 溫蕪菁汁 ○ ?瘟氣立春後初庚子日取溫蕪菁汁合家大小人?服之可理時疾[本草]
☞ 온무청즙(溫蕪菁汁, 따뜻한 순무즙) ○ 온역의 기운을 없앤다. 입춘이 지난 첫 경자일(庚子日)에 순무즙을 내어 따뜻하게 하여 온 가족이 다 먹으면 돌림병이 생기지 않는다[본초]. 

? 蒜 ○ 正月之節食五辛以??氣一曰蒜二曰?三曰?四曰?五曰薑也[本草]
☞ 산(蒜, 마늘) ○ 음력 정월에 5가지 매운 것을 먹으면 전염병의 기운이 없어진다. 5가지 매운 것이란 첫째는 마늘, 둘째는 파, 셋째는 부추, 넷째는 염교, 다섯째는 생강이다[본초]. 

? 人屎 ○ 主天行病大熱狂走取乾者沸湯漬飮之或燒灰作末和水服又納淨土坑中新水調和澄淸取飮之[本草] ○ 卽野人乾也取乾者淨沙覆之取淸飮之治熱病最佳[本草]
☞ 인시(人屎) ○ [번역생략] 

? 人中黃 ○ 大治疫毒取大竹筒兩頭留節一節中作一竅納大甘草於中仍以竹木釘塞其竅置大糞厠中浸一月取出?乾用 ○ 臘月截淡竹去靑皮於厠中浸?取汁飮之大治天行熱疾發狂卽糞淸也[丹心]
☞ 인중황(人中黃) ○ [번역생략] 

? 赤馬蹄 ○ ?瘟疫作屑二兩絳囊盛帶男左女右[本草]
☞ 적마제(赤馬蹄, 붉은 말의 발굽) ○ 온역을 미리 막는데 가루를 내어 80g을 비단주머니에 넣어서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차고 다닌다[본초]. 

? 牡猪糞 ○ 極療天行熱病溫毒大熱取乾者水漬取淸飮之[本草]
☞ 우저분(牛猪糞) ○ [번역생략] 

? 雄狐屎 ○ 燒之去瘟疫病取肉煮食亦可[本草]
☞ 웅호시(雄狐屎) ○ 온역을 미리 막는 데 태운다. 살을 삶아서 먹어도 좋다[본초]. 

? 獺肉 ○ 主疫氣瘟病煮肉取汁停冷飮之[本草]
☞ 달육(獺肉, 수달의 고기) ○ 온역기운과 온병을 주로 치료한다. 고기를 삶아서 즙을 내어 식혀 마신다[본초]. 

? 芥菜子 ○ 治疫氣傳染初覺頭痛取子爲末塡臍中以熱物隔衣一層?之卽汗而愈[種杏]
☞ 개채자(芥菜子, 겨자씨) ○ 온역기운을 치료한다. 전염된 초기 머리가 아플 때 겨자씨가루를 배꼽에 놓고 그 위에 천을 1겹 댄 다음 다리미질하면 땀이 나고 낫는다[종행]. 

? 白粳米 ○ 半升連鬚?二十根煮成粥湯加入好醋半椀再煮一滾服取汗卽愈[種杏]
☞ 백갱미(白粳米, 멥쌀) ○ 5홉을 뿌리 달린 파 20대와 함께 넣고 죽을 쑨다. 여기에 좋은 식초 반 사발을 넣어 다시 한번 끓여서 먹고 땀을 내면 곧 낫는다[종행]. 

? 蓴 ○ 溫病勿食蓴食者多死[本草]
☞ 순(蓴, 순채) ○ 온병 때에는 먹지 말아야 한다. 먹으면 흔히 죽을 수 있다[본초]. 

? 葵菜 ○ 天行病後食葵菜頓喪明[本草]
☞ 규채(葵菜, 아욱) ○ 돌림병을 앓은 뒤에 아욱을 먹으면 곧 눈이 멀게 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풀(草部)]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744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2
[풀(草部)]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풀(草部)] 인삼(人蔘) 1151
[풀(草部)] 천문동(天門冬) 588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
[풀(草部)]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710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풀(草部)]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768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79
[풀(草部)] 시호(柴胡) 587
[풀(草部)] 맥문동(麥門冬) 846
[풀(草部)] 독활(獨活, 따두릅) 1221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풀(草部)] 승마(升麻) 629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목향(木香) 504
[풀(草部)] 서여(薯?, 마) 507
[풀(草部)] 택사(澤瀉) 486
[풀(草部)] 원지(遠志) 629
[풀(草部)] 용담(龍膽) 537
[풀(草部)] 세신(細辛) 540
[풀(草部)] 석곡(石斛) 52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적전(赤箭) 488
[풀(草部)] 암려자(菴?子) 681
[풀(草部)] 석명자(?蓂子) 626